(사진=KT)
(사진=KT)
제5호 태풍 다나스가 북상함에 따라 통신업계가 통신재난에 대비한 대응체계에 돌입했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다나스에 대비해 19일부터 재난 대응 상황실을 운영중이다. 또 여름철 장마철 집중호우와 태풍에 대비해 6300여곳의 시설물 안전 점검과 필요 긴급복구 물자 준비를 완료했다.

재난 상황을 원스톱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재난 관리시스템'을 운영해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정확한 상황 파악과 현장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KT는 전날부터 네트워크관제센터에 '5호 태풍 다나스 재해대비 종합상황실'을 마련하고 연인원 1327명을 투입해 실시간 모니터링과 비상 출동 대기 체계를 가동했다.

전국 재해대책상황실을 함께 운영하며 실시간으로 기상정보를 파악하고 있으며 주요 피해지역으로 예상되는 제주도와 남해안, 남부지방에서 집중호우에 따른 통신시설 침수를 예방하기 위한 방재 자재를 준비하고 취약시설 사전 점검과 보강을 실시했다.

태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경우 4단계 통신재난 대응체계에 따라 신속한 피해 대응과 시설 복구를 추진하고 향후 피해 발생 규모에 따라 추가 인력을 투입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도 20일 오전 서울 마곡사옥에 비상상황실을 구성하고 24시간 모니터링과 긴급복구 체계를 운영한다.

다나스 영향권으로 예상되는 호남, 경남 지역에 비상레벨 4단계(관심)를 발령하고 태풍의 이동경로를 계속 파악하고 있다.

통신망 피해 발생 시 현장 긴급출동과 신속한 복구를 위해 비상 발전기 500여대 등을 배치하고 네트워크 인프라 직원과 협력사 직원 1700여명을 비상 대기시켰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