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경계감 속 다우·S&P 상승, 나스닥 하락오는 2일로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를 앞두고 뉴욕증시 주요 지수는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현지시간 3월31일 다우존스 지수는 전장보다 1% 오른 4만2001.76, S&P 500 지수는 0.55% 상승한 5611.85, 나스닥 지수는 0.14% 내린 1만7299.29으로 장을 마쳤습니다. 엔비디아·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들이 장 초반 크게 하락했으나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어느정도 가시면서 반발 매수세가 유입돼 낙폭을 줄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커지면서 국제 금값은 전장보다 0.66% 뛴 온스당 3121.69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백악관 "상호관세, 불공정한 모든 나라에 부과"백악관은 오는 2일 국가별 상호관세 발표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상호관세 부과를) 시작할 것”이라면서 지난달 26일 발표한 25% 자동차 관세 또한 재고의 여지가 없다고 언급했습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 역시 현지시간 31일 취재진에게 “이제는 상호주의의 시간”이라며 “미국인을 불공정하게 대우한 모든 국가는 관세를 예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관세 부과 대상 국가 등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았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할 것이라고만 했습니다.◆ 제조기업 60% '美 관세 영향권'…"납품 감소 우려"국내 제조업 전반이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대한상공회의소(상의)는 최근 전국 제조기업 2107개사 대상으로 미국 관세 영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영향을 받
그동안 주택연금과 관련한 [일확연금 노후부자] 기사를 작성하면 위에 캡처해서 보여드린 댓글처럼 오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주택연금 제도를 운영하는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택의 가치를 평가할 때 시세보다 훨씬 낮은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삼고, 이로 인해 주택연금에 가입해도 충분한 연금을 지급받지 못한다는 불만이죠. 사실 이런 생각은 절반만 맞고 절반은 틀린 생각입니다. 오늘은 그 이유를 차근차근 알아보고, 가치평가를 최대한 많이 받는 방법도 알아보겠습니다.주택연금은 개인이 소유한 집을 공기업인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담보로 제공하고 집에 계속 살기만 하면 매달 수십만원에서 수백만원의 현금을 사망할 때까지 받는 사회보장 제도입니다. 가입자와 배우자가 모두 사망하면 집의 소유권이 한국주택금융공사로 넘어가지만, 자산이라고는 집 한 채가 전부인 고령층에겐 별다른 노력 없이 넉넉한 소득을 매달 챙길 수 있는 유용한 제도죠.주택연금 가입을 고민하는 분들께 중요한 것은 결국 얼마나 많은 돈을 받을 수 있는지겠죠. 주택연금 가입자가 매달 받는 월수령액은 나이와 집값에 따라 다른데, 구체적인 액수는 지난 '일확연금 노후부자' 기사("국민연금도 없는데 어떻게"…평생 月300만원 받는 방법 [일확연금 노후부자])에서 자세히 설명드린 바 있습니다.핵심은 주택연금 가입 당시의 나이와 집값을 기준으로 평생 받는 주택연금 월수령액이 정해진다는 부분입니다. 나이가 많을수록, 집값이 높을수록 주택연금 월수령액도 커지죠. 나이는 주민등록상 나이를 기준으로 하니 기준이 명확한 편입니다. 그러면 집값의 기준은 무엇일까요. 바로 이 집값의 기
딥시크(Deepseek) 출현 이후 중국의 과학기술을 다시 보는 사람들이 굉장히 많아졌습니다. 미국에서 공부하지 않고, 토종 교육만으로 괄목할 만한 결과를 내놓을 수 있다는데 놀라고 있습니다.미국과 중국 간의 기술 경쟁은 물밑에서 치열하게 진행돼 왔습니다. 세계는 딥시크의 출시로 중국의 실력을 별안간 알게 됐을 뿐입니다. 딥시크의 성공은 단순한 모방을 넘어 독자적인 혁신을 추구하는 새로운 단계에 중국이 진입했음을 알리고 있습니다. 중국 과학기술 굴기는 이제 시작에 불과합니다.과거 미국이 중국의 과학기술을 고립시키려는 전략을 펴자, 중국은 2013년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에서 과학기술부를 개편하고 과학기술 자립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중국은 과기정책 분야 거버넌스도 명확히 하며 흔들림 없이 기술 자력갱생을 꾸준히 추진해 왔습니다.미국이 명목상 연구개발비에서 중국을 앞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화가치나 물가수준을 감안한 구매력평가(PPP) 기준으로 바꾸면 중국은 미국에 뒤지지 않습니다. 중국의 과학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출은 최근 20년간 20배 가까이 증가했습니다.중국, 과학기술 R&D에 600조원 쏟아중국은 약 600조원(2022년 기준)에 달하는 R&D 투자에서 기초연구 비중을 15%까지 확대하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매칭 펀드 의무화를 통해 지역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등 과학기술 정책의 개혁을 지속해 오고 있습니다.중국은 대형 연구과제의 연구책임자(PI)를 절반 이상 40세 이하로 채워야 하는 '젊은 인재 의무 할당제'를 도입했습니다. 논문의 평가도 양(量) 아닌 피인용(Citation) 중심의 질적 평가로 전환했습니다. 중국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