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부족 우려 크지 않아…용수수요 많지 않고 장마전선 북상"
장마철인데 누적강수량 평년의 72%…일부지역 가뭄 '관심' 단계
장마철인데도 최근 누적강수량이 평년보다 크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장마전선이 북상하고 있고 7월 중순까지는 용수 수요가 많지 않아 물 부족 우려는 크지 않을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10일 발표한 7월 가뭄 예·경보에서 "지난 1일 기준으로 최근 6개월 전국 누적강수량이 354㎜로, 평년 수준인 472㎜의 72.7%에 그친다"며 "또한 지역별 편차가 나타나 일부 지역을 가뭄 '관심' 단계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중부지역의 누적강수량은 평년 대비 55% 수준으로 남부(86%)보다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저수율이 낮은 일부 지역을 가뭄 예·경보 4단계(관심·주의·경계·심각) 중 약한 가뭄을 뜻하는 '관심' 단계로 지정하고 선제 관리하고 있다.

생활·공업용수 분야에서는 진전지(포항), 운문댐(대구·경산·영천·청도), 평림댐(담양·영광·장성·함평), 보령댐(보령·서산·당진·서천·청양·홍성·예산·태안) 용수 공급지역이 관심 단계로 지정돼있다.

이 가운데 운문댐·보령댐·평림댐은 저수율이 30∼40% 수준이다.

농업용수 부문에서는 경기 강화·파주, 강원 철원·고성, 충남 홍성 등이 '관심' 단계다.

다만 장마전선이 북상하면서 이러한 상황은 다소 회복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7월 중순까지는 농업용수 수요가 많지 않은 시기여서 물 부족 우려도 크지 않다고 행안부는 설명했다.

지난 1일 기준 전국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은 평년 대비 113%에 이른다.

다목적댐은 136.4%, 용수댐은 121.1%다.

정부는 장마 기간 강우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면서 물 부족에 대비해 공급주기를 늘리는 한편으로 영농 퇴수 재이용, 하천수 활용 직접급수, 관정개발 등 용수 확보를 지속해서 추진할 방침이다.

김종효 행안부 재난대응정책관은 "영농기가 끝나는 10월까지 강수 상황과 댐·저수지 저수율 등을 지속해서 관찰해 용수 부족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