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 경기도 대변인은 3일 광역단체장 관사를 호화주택이라고 비판한 일부 언론 보도에 대해 "민선 7기 들어 경기도지사 공관은 '사택'으로 쓰이지 않아 개인적인 가정생활까지 이뤄지는 여느 '관사'와 다르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이날 오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경기도지사 공관의 진실은 이렇습니다'라는 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경기도 대변인 "도지사 공관의 진실은 이렇습니다"
경기도에 따르면 도지사 공관은 1967년 수원시 장안구 화서동에 건립돼 역대 지사의 주거 공관과 집무실로 활용돼왔다.

지상 2층(연면적 813㎡)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단독주택 건물로, 2017년 8월 문화재청으로부터 문화재로 등록됐다.

전임 남경필 전 지사 때인 2016년 4월 게스트하우스, 갤러리, 카페 등으로 용도를 변경해 지난해 말까지 도민에게 개방했다.

그러나 지난 4년간 수용인원 부족, 이용률 저하 등으로 운영 실익이 없다는 평가에 따라 도는 이재명 지사 취임 이후 지사 공관으로 재사용 방안을 검토해오다 지난 5월 말부터 도민 업무·소통 공간으로 재사용하고 있다.

김 대변인은 "전임 지사 때 새로운 도청사가 들어설 광교에 총 89억원을 들여 지사 공관을 신축할 계획을 세웠는데 현재의 공관을 재활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해 민선 7기 들어 이를 폐기했다"며 낭비 요소를 줄여 공관 활용의 효율성을 높인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 공관은 엄연한 도지사 집무실이자 재난상황실이고 회의실이나 내외빈 응접실로도 쓰인다"며 "'사적인 주거공간'이 아니라 철저하게 '공적인 업무공간'이라는 목적에 부합하게 쓰이고 있다"고 했다.

경기도 대변인 "도지사 공관의 진실은 이렇습니다"
김 대변인은 "1층은 소통의 공간으로 내외빈 연회장소로 쓰이기도 한다.

민선 7기 이래 공관에 처음 모신 분은 북측에서 남한을 방문한 고위급 인사들이었고, 최근에는 퇴임하는 도 소방공무원들을 모시고 격려 차 오찬을 함께 했다"고 말했다.

또 "2층은 비상시 도지사 집무실을 겸한 재난상황실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 지사는 을지훈련 당시 이곳에서 처음 숙박을 했다"라고도 했다.

김 대변인은 "경기도는 불필요한 예산 누수를 줄이고 기존 공관 건물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며 공적인 목적으로 사용하자는 당초의 개보수 취지에 부합하도록 지사 공관을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일 광역단체장 관사에 관해 집중적으로 보도한 모 언론은 시도지사별 관사 예산 사용 내용을 모바일 탐사보도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해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