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새로운 치료법 나오나…증세 완화시키는 `지질단백질` 발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본격적인 고령화 사회가 도래하면서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증가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미국에만 580만 명이 있고, 전 세계적으론 5천만 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무서운 병을 예방하거나 진행을 멈추게 할 만한 치료법은 아직 개발된 게 없다.
ADVERTISEMENT
아포지질단백질은, 그것이 존재하는 지방단백질의 밀도와 합성조직 등에 따라 10여 종으로 분류한다. apoE는 저밀도지방단백질(LDL) 수용체와 결합하고 간에서 생성된다.
미국 사우스 플로리다대(USF) 의대의 준 탄(Jun Tan) 정신의학·행동신경과학 교수팀은 최근 이런 내용의 연구보고서를 저널 `바이올로지컬 사이카이어트리(Biological Psychiatry)` 인터넷판에 발표했다.
ADVERTISEMENT
연구팀은 유전공학 기술로 알츠하이머병 증세를 갖게 한 생쥐에 6KApoEp를 투여해, 생쥐의 학습과 기억 능력이 향상되는 걸 확인했다. 길항물질은, 비슷한 분자구조를 가진 다른 물질의 대사 반응을 방해하는 물질을 말한다.
아밀로이드는 여러 개의 단백질이 뭉쳐 형성하는 섬유 모양의 응집체로, 일부 신경퇴행성 질환을 비롯해 20여 종의 인간 질병과 연관돼 있다. 특히 아밀로이드 베타는 타우 단백질과 함께 알츠하이머병의 원인 물질로 꼽힌다.
ADVERTISEMENT
그런 점에서 이번 연구결과는, apoE와 N-말단 APP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게, 알츠하아머병의 새로운 `질병 변경(disease-modifying)` 치료 전략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목된다.
N-말단이란, 여러 개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을 이용해 폴리펩타이드를 형성할 때, 양쪽 말단의 두 아미노산 중 아미노기가 남는 걸 말한다. 카복실기(carboxyl group)가 남는 다른 쪽 말단의 아미노산은 `C-말단(C-Terminal)`이라고 한다.
ADVERTISEMENT
김주리기자 yuffie5@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