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 사진 한장만 있으면 가상 인터뷰 동영상 만든다"
모나리자가 인터뷰하는 가상 동영상을 만들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나왔다. 인물 사진 한 장만으로 말하는 동작과 다양한 표정 등을 담은 가상 동영상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삼성전자가 개발했다.

삼성전자는 러시아 모스크바 AI 연구센터에서 얼굴 이미지 사진을 말하는 동영상으로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기술은 기존 AI 영상합성 기술인 ‘딥페이크’와 달리 별도의 3차원 모델링 등 복잡한 과정 등이 필요 없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연스러운 가상 동영상을 만들 수 있고, 이를 애니메이션 등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영화 게임 등에 폭 넓게 활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스마트폰에 적용한 ‘이모지’를 개선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모지는 이용자의 얼굴과 닮은 가상 캐릭터를 만들어주는 기능이다. 이 기술 개발에 참여한 한 연구원은 세계적인 명화 모나리자와 영화배우 마릴린 먼로 등의 사진을 이용해 제작한 가상 인터뷰 동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

이 기술은 러시아 첨단기술의 산실로 불리는 스콜코보 과학기술연구소와 공동 개발했다. 세계적 수학·물리학 분야 논문 공개 웹사이트인 아카이브에 게재해 일반에 공개됐다. 일각에선 이 같은 첨단 AI 기술이 가짜 동영상을 만드는 데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미국 의회는 딥페이크 기술이 국가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규제 법안을 준비하고 있다.

전설리 기자 slj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