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가 지목한 韓금융 위험요인은 "미중 무역분쟁·경제 성장세 둔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전문가들은 국내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협하는 위험요인으로 미중 무역분쟁과 국내 경제의 성장세 둔화를 꼽았다.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금융전문가 96명 중 67%가 주요 금융리스크 요인 5개 중 하나로 미중 무역분쟁을 제시했다.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가 뒤를 이었고,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44%), 가계부채 누증(43%)순으로 집계됐다.
1순위 응답빈도 수 기준으로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가 가장 많았다.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 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순이었다. 지난해 11월 당시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주요 위험 요인에서 제외됐다. 대신 기업실적 부진이 새 요인으로 들어갔다.
단기인 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는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제시됐다. 중기인 1∼3년 이내에 현실화될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이 꼽혔다.
발생 가능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지목됐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위험요인은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란 응답이 많았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11월 조사(29%) 대비 25%포인트 하락한 4%를 기록했다.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비율은 27%에서 52%로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 복원력, 대외지급능력 등이 양호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이전에 비해 주요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분산된 점도 일부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은은 매년 두 차례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를 대상으로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을 2012년부터 조사하고 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에 따르면 설문에 참여한 금융전문가 96명 중 67%가 주요 금융리스크 요인 5개 중 하나로 미중 무역분쟁을 제시했다.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가 뒤를 이었고,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44%), 가계부채 누증(43%)순으로 집계됐다.
1순위 응답빈도 수 기준으로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가 가장 많았다.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 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순이었다. 지난해 11월 당시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이 주요 위험 요인에서 제외됐다. 대신 기업실적 부진이 새 요인으로 들어갔다.
단기인 1년 이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는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제시됐다. 중기인 1∼3년 이내에 현실화될 가능성이 큰 위험요인으로는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이 꼽혔다.
발생 가능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지목됐다.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위험요인은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란 응답이 많았다.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해 11월 조사(29%) 대비 25%포인트 하락한 4%를 기록했다. 가능성이 낮다는 응답비율은 27%에서 52%로 상승했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 복원력, 대외지급능력 등이 양호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이전에 비해 주요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분산된 점도 일부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한은은 매년 두 차례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를 대상으로 한국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을 2012년부터 조사하고 있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