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이 있는 아침] 박수근 '귀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국민화가’로 불리는 박수근(1914~1965)은 일제강점기에 태어나 6·25전쟁을 거치면서 자신만의 시각으로 독자적인 작품들을 탄생시켰다. 정식 미술교육을 받지 않았지만 평생 성실한 작가로 일관했던 그였다. ‘빨래터 아낙네들’ ‘절구질하는 여인’ ‘아이를 업은 소녀’ ‘농악’ 등 서민의 평범한 일상이 반영된 박수근의 그림은 투박한 질감과 수수한 색감이 특징이다.
박수근의 1964년작 ‘귀로’는 화강암 같은 질감으로 서민들의 삶을 담담하게 그려낸 수작으로 꼽힌다. 앙상한 나뭇가지로 상징되는 가난한 시대의 일상을 황토색 짙은 질감으로 표현했다. 신작로에 늘어선 나무를 따라 보따리를 이고 귀가하는 아낙네들의 모습을 비교적 따뜻한 기운으로 가식 없이 담아냈다. 나무와 여인을 배치한 아주 단순한 설정이지만 어려운 시절의 삶, 그 속으로 돌아가는 사람의 풍경이 묘한 울림을 준다.
단순한 형태와 선묘를 이용해 대상의 본질을 어루만지고, 서양화 기법을 통해 우리 민족적 정서를 거친 듯 소박하게 빚어냈다. 군더더기 없이 절제된 선, 원근과 명암이 배제된 대담한 구성, 은은하고 투명한 색채는 질박한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전해준다. 옛 기억을 불러내며 어머니 품속처럼 은은한 체취도 느껴진다. ‘인간의 선함과 진실함으로 작품을 그려야 한다’는 그의 예술론이 화면에서 뿜어져 나온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
박수근의 1964년작 ‘귀로’는 화강암 같은 질감으로 서민들의 삶을 담담하게 그려낸 수작으로 꼽힌다. 앙상한 나뭇가지로 상징되는 가난한 시대의 일상을 황토색 짙은 질감으로 표현했다. 신작로에 늘어선 나무를 따라 보따리를 이고 귀가하는 아낙네들의 모습을 비교적 따뜻한 기운으로 가식 없이 담아냈다. 나무와 여인을 배치한 아주 단순한 설정이지만 어려운 시절의 삶, 그 속으로 돌아가는 사람의 풍경이 묘한 울림을 준다.
단순한 형태와 선묘를 이용해 대상의 본질을 어루만지고, 서양화 기법을 통해 우리 민족적 정서를 거친 듯 소박하게 빚어냈다. 군더더기 없이 절제된 선, 원근과 명암이 배제된 대담한 구성, 은은하고 투명한 색채는 질박한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전해준다. 옛 기억을 불러내며 어머니 품속처럼 은은한 체취도 느껴진다. ‘인간의 선함과 진실함으로 작품을 그려야 한다’는 그의 예술론이 화면에서 뿜어져 나온다.
김경갑 기자 kkk1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