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군산 등 복수 지자체 거론…"구미서 상당한 진전 있어"
전기차 배터리 분야 대기업과 협의 중…구미시장 최근 靑 방문하기도
"확정은 아냐…군산 등 다른 지자체서 먼저 성과낼수도"
제2 광주형일자리, 경북 구미에 무게…靑 "6월 내 성과"
노사민정 합의를 기반으로 한 상생형 지역 일자리인 '광주형 일자리'가 올해 초 타결된 가운데, 광주의 뒤를 이을 지역으로 경북 구미가 유력하게 거론되는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특히 청와대에서는 6월 내에 성과가 나올 것 내다보고 있어, 이를 계기로 상생형 일자리 모델의 전국 확산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된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 수석은 19일 기자간담회에서 "제2·제3의 광주형 일자리, 즉 상생형 일자리를 더 활성화해야 한다"며 "6월 내에는 한두 곳에서 가시적 성과가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정 수석은 지난 2월 기자간담회에서도 '제2의 광주형 일자리'를 거론하며 그 후보지로 "전북 군산, 경북 구미, 대구 등이 아주 구체적인 계획을 가진 것 같다"고 소개한 바 있다.

이와 관련, 여권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 수석이 거론한 후보 지역들 가운데 구미가 가능성이 가장 큰 상황"이라며 "논의가 매우 구체적인 단계까지 진전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여권의 다른 관계자 역시 "광주형 일자리 타결 후 정부에서는 다음 후보지로 구미를 1순위를 두고 논의를 진행해왔다"며 "현재 지자체에서 구체적 참여 기업까지 정해 실무협의를 하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여기에 최근 장세용 구미시장도 청와대를 방문 김수현 정책실장, 윤종원 경제수석, 정태호 일자리수석 등을 만나 상생형일자리와 관련한 논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협의가 진행 중인 업종은 배터리 분야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노사민정의 협의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증설하는 방향으로 논의가 이뤄지는 중"이라며 "내용 면에서도 상당한 진전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전기차 배터리 업종에서 상생형 일자리가 타결된다면 참여 가능한 대기업으로는 삼성SDI, LG화학, SK이노베이션 등이 꼽힌다.

이는 청와대가 제시한 '비메모리반도체·바이오·미래차' 등 3대 업종 신산업 육성정책과도 방향이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나아가 호남인 광주에 이어 TK(대구·경북) 지역에 위치한 구미가 지역 상생형 일자리의 '바통'을 이어받는다는 점에서 지역균형발전 취지에도 부합한다는 설명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다만 군산 등 다른 지역에서도 향후 논의가 급물살을 탈 경우, 구미보다 앞서 이들 지역에서 상생형일자리 협약이 타결될 가능성도 열려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여러 자치단체가 기업들을 접촉하고 있으며, 상당히 활발히 논의가 진행되는 것 같다"며 "지금 (다음 지역이) 어디인지 특정해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구미시와 경상북도가 접촉한) 기업 측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것 같다.

논의에 진전이 있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구미가 다음 지역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지만,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