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 1분기 영업이익 1천791억원…전년 동기대비 14.8%↓
CJ제일제당의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대비 14.8% 감소한 1,791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5.4% 늘어난 5조 178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사업 부문별로 살펴보면, 먼저 식품사업부문 1조 7,205억원의 매출을 냈습니다.

햇반컵반, 고메 등 주요 제품은 물론 비비고 죽의 성공적 시장 진입에 힘입어 HMR 제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3% 성장했고, 김치가 44%, 햇반이 21% 성장하는 등 주력 제품군 역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글로벌 식품 매출은 슈완스사의 3월 실적이 반영되고, 중국과 베트남 등도 크게 증가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198% 늘어났습니다.

그린 바이오와 생물자원을 아우르는 바이오사업부문 매출은 1조 902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식품 조미소재인 핵산의 시황 호조에 따른 판가, 판매량 증가 등 지속적인 지배력 강화로 그린 바이오 사업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비 약 8% 증가해 524억원의 성과를 냈습니다.

생물자원 사업은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따른 일시적 축산가 하락으로 부진했지만, 곡물가 상승에 따른 해외 사료 판가 인상으로 2% 매출이 증가했습니다.

CJ제일제당 측은 하반기부터는 식품·바이오 사업의 시장 지배력 확대에 따른 고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 예상했습니다.

CJ제일제당은 "식품사업부문은 확고한 시장지위를 갖고 있는 만두, 햇반, HMR 등 주력 제품의 성장을 극대화하고, 진천 식품통합 생산기지 가동을 통해 생산 효율성 제고에 주력할 것"이라며, "미국 시장 내 만두와 면, 상온·냉동레디밀, 햇반, 김 등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는 동시에 슈완스사와의 시너지를 통해 메인스트림 시장으로 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더불어 중국 현지화 만두를 앞세운 냉동 사업 확대, 베트남 내 냉장·냉동 인프라 조성을 통해 수익성 제고와 글로벌 성장 가속화에 주력한다는 방침"입니다.

바이오부문에서는 R&D 기반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성 극대화와 원가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방침입니다.

핵산과 트립토판 등 고수익군 제품의 생산을 확대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입니다.

생물자원 부문은 아프리카돼지열병 영향이 일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글로벌 축산 가격이 4월부터 반등하고 있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김태학기자 thkim86@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