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로 예고된 버스 파업, '국민의 발' 멈추기 전 극적 타협할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전국 주요 도시의 버스 노동조합은 오는 15일 0시부터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주 52시간 근로제 도입으로 실질 임금이 줄어드는 만큼 버스회사와 지방자치단체, 중앙정부가 보전해야 한다는 게 핵심 요구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전체 버스의 절반가량이 멈춰 설 수 있다.
극적 타결 가능성은 있다. 각 지방노동위원회는 파업 예고시간 전까지 노사간 중재에 나선다. 지금으로선 입장 차가 매우 크다. 버스회사는 재무 여력이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대책없이 주 52시간제 도입을 서두른 정부와 지자체가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세금을 투입하는 것도 쉽지 않다. 한 번 결정하면 되돌리기 어려운데다 매년 부담이 급증할 수밖에 없어서다. 복잡하게 꼬여 있지만, 결국 버스요금 인상으로 퍼즐을 풀 가능성이 높다.
이 와중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춘투(春鬪)를 본격화할 태세다. 민주노총은 지난 11일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 및 비정규직 금지법 제정을 압박하기 위해서다. 현 정부에 대해선 “노동을 전혀 존중하지 않는다”며 비판했다.
이번주 발표하는 경제 통계 중 가장 중요한 지표는 고용동향이다. 통계청이 4월의 신규 취업자 수를 15일 공개한다. 정부의 작년 고용 성적표는 ‘참사’ 수준이었다. 월평균 증가폭이 9만7000명에 그쳤다. 2017년(월평균 31만6000명) 대비 69.3% 급감했다. 다만 고용동향이 전 달에 이어 조금 호전됐을 것 같다. 단기 공공근로 예산을 집중 투입하고 있어서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9일 취임 2주년 대담에서 “올 초 계획을 세울 때는 올해 고용 증가폭을 월평균 15만명으로 잡았는데 이를 20만명 정도로 상향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17일엔 ‘최근경제동향’(그린북) 5월호를 내놓는다. 앞서 4월호에선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으며 실물지표도 부진한 흐름”이라고 진단했다. 그린북에 ‘부진’ 용어가 등장한 것은 2년 4개월 만이었다. 이번엔 어떤 표현이 쓰일 지 주목된다.
한국은행 지표 중에서도 지켜볼 만한 게 있다. 우선 13일에 발표하는 금융시장동향이다. 지난달 가계대출이 얼마나 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3월엔 가계대출 잔액이 834조1000억원으로, 전달 대비 2조9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 같은 달의 증가액 대비 32.6% 감소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매매 수요가 위축된 게 주요 원인이다.
같은 날 관세청은 이달 1~10일의 수출입 실적을 공개한다. 작년 12월부터 감소세로 꺾인 수출이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할 지 단초를 알 수 있다. 미·중 무역 협상이 최종 타결에 실패하면서 우리 수출업계의 시름도 커졌다. 국가간 교역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기 하강 우려까지 커지고 있어서다.
14일 한은이 내놓는 4월 수출입물가지수도 관심사다. 전 달엔 원·달러 환율 및 국제유가 상승으로 수출물가가 8개월 만에 최고점을 찍었다. 한은은 16일 외화예금동향(4월)을 발표한다. 원화 약세 속에서 거주자 외화예금은 되레 줄었을 것이란 게 외환 전문가들의 추정이다. 달러를 많이 보유한 기업들이 적극 매도에 나섰을 것이란 관측이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극적 타결 가능성은 있다. 각 지방노동위원회는 파업 예고시간 전까지 노사간 중재에 나선다. 지금으로선 입장 차가 매우 크다. 버스회사는 재무 여력이 없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대책없이 주 52시간제 도입을 서두른 정부와 지자체가 책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세금을 투입하는 것도 쉽지 않다. 한 번 결정하면 되돌리기 어려운데다 매년 부담이 급증할 수밖에 없어서다. 복잡하게 꼬여 있지만, 결국 버스요금 인상으로 퍼즐을 풀 가능성이 높다.
이 와중에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은 춘투(春鬪)를 본격화할 태세다. 민주노총은 지난 11일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국제노동기구(ILO) 핵심협약 비준 및 비정규직 금지법 제정을 압박하기 위해서다. 현 정부에 대해선 “노동을 전혀 존중하지 않는다”며 비판했다.
이번주 발표하는 경제 통계 중 가장 중요한 지표는 고용동향이다. 통계청이 4월의 신규 취업자 수를 15일 공개한다. 정부의 작년 고용 성적표는 ‘참사’ 수준이었다. 월평균 증가폭이 9만7000명에 그쳤다. 2017년(월평균 31만6000명) 대비 69.3% 급감했다. 다만 고용동향이 전 달에 이어 조금 호전됐을 것 같다. 단기 공공근로 예산을 집중 투입하고 있어서다.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 9일 취임 2주년 대담에서 “올 초 계획을 세울 때는 올해 고용 증가폭을 월평균 15만명으로 잡았는데 이를 20만명 정도로 상향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17일엔 ‘최근경제동향’(그린북) 5월호를 내놓는다. 앞서 4월호에선 “경기 하방 위험이 확대되고 있으며 실물지표도 부진한 흐름”이라고 진단했다. 그린북에 ‘부진’ 용어가 등장한 것은 2년 4개월 만이었다. 이번엔 어떤 표현이 쓰일 지 주목된다.
한국은행 지표 중에서도 지켜볼 만한 게 있다. 우선 13일에 발표하는 금융시장동향이다. 지난달 가계대출이 얼마나 늘었는 지 확인할 수 있다. 3월엔 가계대출 잔액이 834조1000억원으로, 전달 대비 2조9000억원 증가하는 데 그쳤다. 작년 같은 달의 증가액 대비 32.6% 감소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매매 수요가 위축된 게 주요 원인이다.
같은 날 관세청은 이달 1~10일의 수출입 실적을 공개한다. 작년 12월부터 감소세로 꺾인 수출이 6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할 지 단초를 알 수 있다. 미·중 무역 협상이 최종 타결에 실패하면서 우리 수출업계의 시름도 커졌다. 국가간 교역 뿐만 아니라 글로벌 경기 하강 우려까지 커지고 있어서다.
14일 한은이 내놓는 4월 수출입물가지수도 관심사다. 전 달엔 원·달러 환율 및 국제유가 상승으로 수출물가가 8개월 만에 최고점을 찍었다. 한은은 16일 외화예금동향(4월)을 발표한다. 원화 약세 속에서 거주자 외화예금은 되레 줄었을 것이란 게 외환 전문가들의 추정이다. 달러를 많이 보유한 기업들이 적극 매도에 나섰을 것이란 관측이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