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국무총리가 영상회의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안건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영상회의로 열린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안건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세종시 소재 부처 장·차관의 서울 집무실이 연내 폐쇄된다. 서울에 가지 말고 세종시에 머물라는 의도다.

국무조정실은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로서 세종시 기능 강화를 위해 세종시로 이전한 부처 장·차관의 서울 집무실을 연말까지 완전 폐쇄하기로 했다고 9일 밝혔다.

정부는 2012년 국무총리실을 시작으로 부처들을 세종시로 이전해왔다. 올해 2월 행정안전부가 이전했고 8월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옮길 예정이다. 하지만 장·차관들이 세종시에 머무는 시간은 짧았다.

국무조정실은 “세종권 소재 부처 장·차관들이 회의 참석 및 국회 방문 등을 이유로 서울에서 더 많이 근무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의사결정 지연 및 내부소통 부족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됐다”고 지적했다.

또 국무총리 주재 국무회의와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 부총리 주재 경제관계장관회의와 사회관계장관회의, 관계부처 차관들이 참석하는 차관회의 등 정례 회의체는 원칙적으로 세종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설령 세종권 밖에서 회의가 열리더라도 세종 소재 부처 장·차관은 세종에 머무르며 회의에 참석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기로 했다. 이를 위해 정부서울청사에 장·차관 공용집무실과 영상회의실을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세종 소재 부처 장·차관들이 내부 보고나 회의를 위해 서울로 출장을 가는 것도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영상회의 등 대체 수단을 우선 활용하기로 했다.

국무조정실은 "이번 대책으로 부처 장·차관이 세종에서 더 많이 근무하는 업무시스템을 정착해 나갈 것"이라며 "세종시를 명실상부한 행정수도로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 1월 국무회의에서 "각 부처 장·차관들이 세종에서 근무하는 시간을 다 합치면 한 달 평균 나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시간을 서울에서 보낸다"며 장·차관들의 세종 근무시간을 늘릴 것을 주문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