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와 오인 쉬운 척추 질환 `척추전방전위증` 비수술치료로 증상 개선에 효과 보여
척추전방전위증은 위쪽의 척추뼈가 아래의 척추뼈보다 배 쪽으로 더 많이 밀려나가면서 허리 통증 및 다리 저림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척추미끄럼증, 척추탈위증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하부 요추에서 잘 발생하는 척추질환이다.

허리디스크와 비슷하게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다리 땅김, 마비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서 많은 사람들이 허리디스크라고 오인하기 쉽지만 X-ray상 척추의 구조적 이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로 쉽게 진단이 가능하다.

척추전방전위증의 증상으로는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날 때 허리가 아프고, 오래 서있거나 많이 걷고 나면 허리나 엉치뼈 부근과 무릎 밑에 통증이 느껴진다. 앉아 있다가 일어서거나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허리에 통증을 느끼고, 허리를 반듯하게 편 상태에서 척추뼈를 손으로 만졌을 때 특정 부위가 툭 튀어나온 것처럼 계단식으로 층이 느껴지기도 한다. 이 외에도 허리가 앞으로 들어가고 엉덩이가 튀어나와 걸을 때 뒤뚱거리는 자세로 걷게 된다.

대구 참튼튼병원 척추외과 박진규 원장은 "수술은 다리에 마비가 있거나 비수술적 치료를 받아도 걷기 힘든 환자에게 시행을 하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허리 근육 운동, 인대 강화를 위한 증식치료, 물리치료, 약물치료, 보조기 사용 등으로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라며 "척추전방전위증은 치료도 중요하지만, 환자의 생활 습관 역시 중요하기 때문에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척추전방전위증은 유전적 요인이나 바닥 생활을 오래 하거나 쪼그리는 자세를 많이 하는 일상 생활 습관이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어 해당 자세를 피하고 평소에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한다.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