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 "노동계, 투쟁 아닌 상생서 존중 찾아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SNS 통해 근로자의 날 메시지
경사노위 조속한 정상화 당부도
경사노위 조속한 정상화 당부도
문재인 대통령이 1일 근로자의 날을 맞아 노동계에 사회 주류로서의 역할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근로자의 날 축하메시지에서 “과거 노동이 ‘투쟁’으로 존중을 찾았다면, 앞으로의 세상에서는 ‘상생’으로 존중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동계도 우리 사회의 주류라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며 5개월째 표류하고 있는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조속한 정상화를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노·사·정이 함께하는 경사노위가 좋은 결실을 이뤄내길 기대한다”며 “정부도 힘을 보탤 것이니 노동계도 함께해달라”고 말했다. 경사노위에 불참하고 있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노동존중사회’는 정부의 핵심 국정기조”라고 강조하면서도 “정부 정책만으로 하루아침에 사회가 달라질 순 없다”며 노동계의 협조를 재차 촉구했다.
"노동계는 이미 사회의 주류"…작년과 달라진 문재인의 메시지
올해 문 대통령의 근로자의 날 메시지는 노동자들의 권익에 방점을 둔 지난해와 달리 노동계에 사회 주체로서의 역할을 강조한 점이 눈에 띈다. 문 대통령이 “최저임금 인상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주 52시간 근로제는 모두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그것을 통해 노동의 질을 높이고자 한 정책”이라고 언급한 점도 이제는 노동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때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고공 농성이나 단식으로 고생하던 노동자들이 일터로 돌아갈 수 있게 된 것은 다행스럽다”며 “쌍용차와 KTX 여승무원, 파인텍, 콜텍악기 등 정부 출범 이전부터 있었던 오랜 노동 문제들이 모두 해결됐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일련의 정책들이 노사 간의 첨예한 갈등을 해소하려는 노력이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높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이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고 싶다. 노동으로 꿈을 이루고, 세계를 발전시키고, 존경받을 수 있는 나라를 이뤄내고 싶다”며 “숙련공, 기능공, 마스터들이 우리의 일터와 사회 곳곳에서 주역으로 대접받는 모습을 보고 싶다”고 글을 맺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부 출범 2년간은 노동계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당한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는 과정이었다면 3년차부터는 실질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는 의미에서 사회 주체로서 노동계가 협조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2일에는 사회 원로 10여 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연다. 집권 중반기 국정 운영에 대한 조언을 구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김영란 전 대법관, 송호근 포스텍 석좌교수, 조한혜정 연세대 명예교수, 조은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 등 진보·보수원로 및 학자들이 고르게 참석한다. 특히 중도·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윤 전 장관 등이 참석 대상에 포함되면서 문재인 정부를 향한 ‘쓴소리’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경험 많은 원로들에게 국정 운영의 지혜를 구하기 위한 자리인 만큼 허심탄회한 대화가 오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일에도 전윤철 전 감사원장, 강철규 전 공정거래위원장, 정운찬 전 총리,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 등 경제계 원로들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했다. 당시 정 전 총리가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경제 정책이라기보다는 인권 정책에 가깝다. 그것으로 경기를 살리려는 건 확실한 보장이 없다”고 지적하는 등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참석자들의 고언이 나왔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
문 대통령은 이날 소셜미디어(SNS)를 통한 근로자의 날 축하메시지에서 “과거 노동이 ‘투쟁’으로 존중을 찾았다면, 앞으로의 세상에서는 ‘상생’으로 존중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동계도 우리 사회의 주류라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며 5개월째 표류하고 있는 사회적 대화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의 조속한 정상화를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아직 갈 길이 멀지만 노·사·정이 함께하는 경사노위가 좋은 결실을 이뤄내길 기대한다”며 “정부도 힘을 보탤 것이니 노동계도 함께해달라”고 말했다. 경사노위에 불참하고 있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의 전향적 태도 변화를 촉구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노동존중사회’는 정부의 핵심 국정기조”라고 강조하면서도 “정부 정책만으로 하루아침에 사회가 달라질 순 없다”며 노동계의 협조를 재차 촉구했다.
"노동계는 이미 사회의 주류"…작년과 달라진 문재인의 메시지
올해 문 대통령의 근로자의 날 메시지는 노동자들의 권익에 방점을 둔 지난해와 달리 노동계에 사회 주체로서의 역할을 강조한 점이 눈에 띈다. 문 대통령이 “최저임금 인상과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주 52시간 근로제는 모두 노동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그것을 통해 노동의 질을 높이고자 한 정책”이라고 언급한 점도 이제는 노동계가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때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문 대통령은 “고공 농성이나 단식으로 고생하던 노동자들이 일터로 돌아갈 수 있게 된 것은 다행스럽다”며 “쌍용차와 KTX 여승무원, 파인텍, 콜텍악기 등 정부 출범 이전부터 있었던 오랜 노동 문제들이 모두 해결됐다”고 평가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일련의 정책들이 노사 간의 첨예한 갈등을 해소하려는 노력이었을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 노동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지난해 말 국회를 통과한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안에 대해서도 노동자의 안전과 건강을 높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노동이 자랑스러운 나라를 만들고 싶다. 노동으로 꿈을 이루고, 세계를 발전시키고, 존경받을 수 있는 나라를 이뤄내고 싶다”며 “숙련공, 기능공, 마스터들이 우리의 일터와 사회 곳곳에서 주역으로 대접받는 모습을 보고 싶다”고 글을 맺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부 출범 2년간은 노동계의 권리가 부당하게 침해당한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는 과정이었다면 3년차부터는 실질적인 성과를 내야 한다는 의미에서 사회 주체로서 노동계가 협조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2일에는 사회 원로 10여 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연다. 집권 중반기 국정 운영에 대한 조언을 구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이홍구 전 국무총리, 이종찬 전 국가정보원장, 윤여준 전 환경부 장관, 김영란 전 대법관, 송호근 포스텍 석좌교수, 조한혜정 연세대 명예교수, 조은 동국대 사회학과 교수 등 진보·보수원로 및 학자들이 고르게 참석한다. 특히 중도·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윤 전 장관 등이 참석 대상에 포함되면서 문재인 정부를 향한 ‘쓴소리’가 나올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경험 많은 원로들에게 국정 운영의 지혜를 구하기 위한 자리인 만큼 허심탄회한 대화가 오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3일에도 전윤철 전 감사원장, 강철규 전 공정거래위원장, 정운찬 전 총리,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 등 경제계 원로들을 초청해 오찬 간담회를 했다. 당시 정 전 총리가 “소득주도성장 정책은 경제 정책이라기보다는 인권 정책에 가깝다. 그것으로 경기를 살리려는 건 확실한 보장이 없다”고 지적하는 등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참석자들의 고언이 나왔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