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美 환율보고서 발표…"韓 집중견제 피할 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23일 국제금융센터는 '주요 대미 교역국들의 경상수지 및 자동차 수출 현황'이라는 보고서에서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 대미 상품수지 흑자가 모두 줄어들었다"며 "미국과 타협에 있어 긍정적인 대목"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한국은 그간 대미 무역수지,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 등 2가지 때문에 환율조작국보다는 아랫 단계인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돼왔다. 그러나 한국의 대미 상품수지 흑자가 지난해 200억달러 밑으로 내려가며 요건 1개를 벗어나게 됐다. 대미 상품수지 흑자는 2016년 276억달러에서 2017년 231억달러, 지난해 179억달러로 줄었다. 대미 상품수지 흑자 규모가 200억달러 밑으로 내려간 것은 미국이 환율보고서 근거로 내세우는 교역촉진법을 제정한 2015년 이후 처음이다.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 4.7%로 여전히 3%를 넘지만 꾸준히 줄고 있다.
보고서는 중국과 독일이 미국의 집중 '타깃'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독일은 2011년 이래 경상수지 불균형의 최대 원인이 되고 있으며 대미 상품수지 흑자, 자동차 수출 규모가 크기 때문에 미국이 가장 강하게 압박을 시도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중국에 대해선 "경상수지 흑자가 지난해 GDP의 0.4%로 거의 균형 수준이 됐지만 대미 상품수지 흑자는 오히려 전년보다 늘었다"며 "미국의 전방위적 압박이 계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ADVERTISEMENT
보고서는 "경기 전망 등을 고려하면 미국 입장에서도 자동차 관세 부과를 강행하긴 어렵지만 부과 시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당분간 주요 위험 요인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이 25% 자동차 수입 관세를 부과할 때 유럽연합(EU) 성장률은 0.2%포인트, 독일은 0.4%포인트, 일본은 0.5%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는 "한국의 경우에도 지난해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마쳤으나 관세 부과 대상에 포함할 가능성을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면서 "이 경우 한국 GDP는 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