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학전형으로 고교교육 정상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은 68개 대학에 올해 559억 원이 지원된다. 올해부터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을 얼마나 공정하게 운영했는지도 평가지표에 포함된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기본계획을 5일 발표했다. 이 사업은 대학이 고교교육을 내실화하고 학생·학부모의 부담을 줄이는 방향으로 대입전형을 개선하면 2년간 입학사정관 인건비, 입학전형 운영·연구비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중간평가의 해다. 전년 선정된 68개 대학 중 하위 10개 안팎의 대학은 지원대상에서 제외된다. 이후 사업에서 탈락된 대학과 신규신청대학을 경쟁공모해 다시 지원대상을 선정한다.

지난해 대입전형을 개선하는 대학(유형Ⅰ) 62곳과 2021학년도 모집인원이 2000명 이하인 지방(서울·경기·인천 제외) 중소형 대학(유형Ⅱ) 6곳이 지원을 받았다. 이 중 유형Ⅰ에서 9곳 안팎·유형Ⅱ에서 1곳 안팎이 중간평가에서 떨어진다. 유형Ⅰ 대학 중 한 곳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서 평가하는 대학기관평가인증을 받지 못하면서 올해 사업에서 이미 배제됐다.

교육부는 지난해 발표된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방안’에 따라 추가선정평가 때 학종 공정성 강화에 관한 4가지 항목 평가를 강화하기로 했다. 자기소개서 대필·허위작성이 확인될 경우 의무적으로 탈락·입학취소 조치하는지, 학종 평가기준 공개 범위를 확대하는지, 2인 이상 입학사정관이 교차평가하도록 의무화했는지, 학종 공정성 관련 위원회에 외부위원이 참여하는지 등이 올해 처음 지표로 반영된다. 관련 배점도 기존에 100점 만점 중 29점에서 36점으로 상향됐다.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방안의 핵심인 ‘수능전형 30% 이상 권고’를 따르는지는 올해는 보지 않고, 내년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대상 신규 선정 때 주요 지표로 반영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4∼5월 중간평가를 거쳐 6월께는 최종결과를 발표한다는 방침이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