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스마트폰 폼팩터(제품구조)의 혁명을 불러올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접는 스마트폰`(폴더블폰)에 IT·모바일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면서 애플이 언제쯤 `접는 아이폰`을 내놓을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성전자가 `갤럭시 폴드`, 중국 화웨이가 `메이트 X`를 잇달아 선보이면서 스마트폰 업계 빅3 중 하나인 애플도 결국 폴더블폰 개발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미 IT매체 시넷(CNet)은 2일(현지시간) "애플이 폴더블폰에 관심 있다는 증거가 상당히 많이 발견됐다"면서 "2011년부터 폴더블 기술을 위한 청사진을 만들었고 2014년에는 첫 특허도 받았다"라고 전했다.

애플은 갤럭시 폴드와 마찬가지로 `인폴드`(안쪽으로 접는) 형태의 폴더블폰을 구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웨이의 메이트X는 갤럭시 폴드와 반대인 `아웃폴드`(바깥쪽으로 접는) 방식이다.

모바일 전문매체 `마이스마트프라이스`가 발견한 바에 의하면 애플이 최근 플렉서블(휘어지는) 디바이스와 관련해 새로운 특허를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감는 형태의`(wraparound)의 디스플레이일 수도 있다고 추측된다.

애플 공동창업자인 스티브 워즈니악은 "애플이 폴더블폰에서는 리더가 아니다"라고 우려하면서 폴더블폰의 신속한 개발을 주문했다.

그러나 루프 벤처스의 진 뮌스터 매니징 파트너는 "애플 유저들은 폴더블 버전이 곧 시장에 나올 것으로 기대해도 좋다. 애플은 고유한 각본을 갖고 있고, 적정한 시간에 이를 펼쳐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IT 매체 톰스가이드는 애플이 폴더블 스마트폰과 관련해 특허를 갖고 있는 건 맞지만, 추운 날씨 등 극한 조건에서 완벽하게 접고 펼 수 있는 기술은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고 예측했다.

삼성이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애플에 공급할 수도 있다는 한국 언론 기사에 대해서도 미 매체들이 관심을 기울였다. IT 매체 맥루머스는 삼성이 올레드(OLED) 디스플레이를 애플에 제공하는 공급 체인에 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연합뉴스)
`갤럭시 폴드` 이어 `아이폰 폴드` 언제 나오나
이영호기자 hoya@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