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자 범죄위험? 일반인보다 훨씬 낮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신이상자로 분류되는 이들의 범죄는 증가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일반인 범죄에 비교하면 여전히 적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정신질환자 범죄에 대한 잘못된 접근과 해석은 이들에 대한 `낙인찍기`를 낳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ADVERTISEMENT
그러나 이듬해 1천879건으로 늘더니 2017년에는 2천932건으로 증가했다. 7년 사이 38.3% 불어난 셈이다.
이처럼 건수 자체는 상당 폭 늘었지만, 정신이상자들의 범죄율은 여전히 일반인들보다 훨씬 적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ADVERTISEMENT
이웅혁 건국대 경찰학과 교수는 "통계를 보면 정신이상자들의 범죄가 일반인보다 높지 않다"며 "객관적 수치로는 적지만, 간혹 예상을 뛰어넘는 사건이 있어 더 위협적으로 느끼는데 이는 이들이 저지르는 범죄에 대한 막연한 공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정신건강복지법) 개정으로 정신질환자들의 강제 입원이 어려워진 점도 시민 불안을 키우는 요소 중 하나다. 정신건강복지법은 본인 동의 없는 정신병원 강제입원은 위헌이라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개정되면서 지난해 5월 말부터 시행돼왔다.
ADVERTISEMENT
전문가들은 정신질환자들의 범죄에 대한 막연한 공포와 그에 따른 일률적인 `낙인찍기`, 불안 조장식 언론 보도는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홍진표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 인권전문위원(삼성서울병원 정신과 전문의)은 "정신장애인들을 지역사회에서 살게 하려면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며 "최소한 자해나 타해 위험이 있는 정신장애인들이 병원에서 퇴원했을 때 지역사회에 의무적으로 보고하도록 제도를 만들고, 장기지속형 주사제를 활용하는 등 치료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ADVERTISEMENT
명숙 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는 "사건이 하나 터지면 사회적 약자로 칭해지는 집단(정신장애인)을 공격하는 언론 보도와 일부 사람들의 시선이 문제"라며 "의사나 환자 모두의 목숨이 중요한 만큼 구조적으로 접근해야 사태를 풀어갈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주리기자 yuffie5@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