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워진 날씨에 구안와사·안면마비 발병률 높아…초기치료 중요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차가운 곳에서 자는 사람에게는 흔히 ‘그러다 입 돌아간다’는 말을 한다. 이는 괜히 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찬 곳에서 자게 되면 급격한 온도변화로 면역력이 저하되기 쉽고, 이로 인해 귀나 안면에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안면신경마비, 즉 구안와사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안와사는 증상이 서서히 나타나기 보다는 자고 일어난 뒤 갑자기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
ADVERTISEMENT
보통 구안와사는 전조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귀 뒷부분에 통증이 있거나 두통이 평소보다 심해지고 혀의 감각이 둔해지면 구안와사를 의심해봐야 한다. 몸살이 난 것처럼 몸이 무겁고 피로감이 몰려오기도 한다.
구안와사는 보통 아침에 일어나서 세수하다가 증상을 깨닫게 된다. 얼굴에 티가 나지 않는 경우 식사하거나 물을 마시면서 평소와 다른 느낌에 이를 깨닫기도 한다. 심할 경우 눈이 잘 감기지 않고 이마 주름이 옅어지거나 입 끝이 움직이지 않는다.
ADVERTISEMENT
안면마비는 발병 후 초기치료가 중요하다. 문병하 광동한방병원 뇌기능센터 원장은 “발병 후 3주 이내에 치료하지 않으면 얼굴 일부가 부분적으로 마비되는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며 “대부분 2~3주간 집중치료하면 증상이 좋아지기 시작한다”고 강조했다.
구안와사 등 안면마비 치료에도 양한방 협진이 적용된다. 급성기 치료 시에는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면손상 부위의 염증 반응과 부종을 빠르게 감소시켜 줄 수 있는 양약을 함께 처방한다. 여기에 각 환자의 체질에 따라 소염, 해독 효과가 있는 한약이 보름 정도 처방되며 체질 침을 기본으로 소염, 해독 효과가 있는 침과 약침도 사용한다.
ADVERTISEMENT
‘프롤로주사’도 빠른 회복을 위한 하나의 선택지가 될 수 있다. 주홍범 광동한방병원 통증재활센터 원장은 “근본치료를 목표로 하는 프롤로주사는 회복기간을 단축시킨다”며 “프롤로주사를 신경주변에 주사하면 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부위를 치료하고 경추에서부터 연결된 근육을 풀어주어 안면신경에 혈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고 소개했다.
한국경제TV 핫뉴스
ADVERTISEMENT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