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방문에 日기업인 500명 대동
양해각서만 50건 성과 보였지만
美와 통상전쟁에 사실상 불가능
베이징=강동균 특파원
정상회담을 통해 시 주석과 아베 총리는 양국 관계의 정상화를 선언했다. 양국 기업은 제3국 인프라 공동 개발 등 50여 건의 굵직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중국과 일본 양국에서는 2012년 9월 일본의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국유화 조치로 급랭했던 양국 관계가 정상화되고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하지만 겉으로 드러난 성과와 달리 아베 총리와 일본 기업은 중국과의 협력에 엉거주춤한 자세를 보였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를 ‘한미(半身·はんみ)의 대(對)중 연대’라고 표현했다. ‘한미’는 스모나 검도 등 격투기 스포츠에서 상대방에게 비스듬한 자세를 취하는 것을 말한다.
왜 그랬을까. 우선 양국 기업 간 경제협력의 알맹이가 크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 전자업체 파나소닉은 중국 최대 검색업체 바이두와 차세대 차량에 탑재할 시스템을 공동 개발하기 위해 공장을 짓기로 했다. 그러나 중국산 차량에 들어가는 기기는 미국의 관세 부과 대상이어서 중국에 생산기지를 두기 어려운 상황이다. 미쓰이물산은 중국의 에너지 기업 CCL과 전기자동차, 액화천연가스(LNG) 분야 등에서 공동 투자하기로 했다. 미쓰이는 미국에서 LNG 개발 사업을 하고 있고 미 전기차 스타트업(신생 벤처기업)에도 투자한 상태여서 통상전쟁을 치르는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양다리’를 걸치게 됐다.
미국과의 관계도 일본 기업들의 발목을 잡았다. 아베 총리의 측근인 야치 쇼타로 국가안전보장국장은 지난 16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났을 때 아베 총리의 방중 의도를 설명했다. 아베 총리도 지난달 16일 미·일 정상회담 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에게 중국과 제3국 인프라 사업 협력 계획 등을 미리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일 간 밀착이 미국의 심기를 건드리고 미국에 대항하는 모습으로 비칠 것을 우려한 때문이란 분석이다.
중국 외교부의 고위 관계자는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의 포화 속에 일본 정부와 기업은 미국의 반응을 살피며 어정쩡한 태도를 보였다”며 “이번 정상회담으로 중·일 관계가 실질적인 관계 개선을 이루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kd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