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받은 면역관문억제제, 왜 비쌀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민수의 바이오노믹스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의 영광은 면역관문억제제가 차지했다. 면역관문을 발견하고, 그 원리를 통해 새로운 암 치료법을 만든 두 과학자가 상을 받았다.
제임스 앨리슨 미국 텍사스대 MD앤더슨암센터 교수는 면역체계에서 제동장치 역할을 하는 단백질 ‘CTLA-4’를 연구했다. CTLA-4와 결합해 그 기능을 차단하는 항체 개발을 주도했고, 세계 첫 면역관문억제제 ‘여보이’를 탄생시켰다. 여보이는 201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악성 흑색종 치료제로 허가받았다.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는 면역세포인 T세표의 표면에 나타나는 ‘PD-1’ 단백질을 처음 발견했다. PD-1이 암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PD-L1’ 단백질과 만나면 T세포는 암세포를 공격하지 못한다. 혼조 교수의 연구는 PD-1 단백질에 먼저 결합하는 면역관문억제제인 ‘키트루다’와 ‘옵디보’의 개발로 이어졌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이렇듯 암세포가 T세포를 속이는 과정을 막아 정상적인 면역 활동을 통해 암을 치료하는 의약품이다. 면역관문억제제가 노벨상을 받은 이유는 암 완치의 가능성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면역관문억제제도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이용해 기존 항암제의 독성 및 내성 문제를 해결했다. 다만 효과를 보는 환자의 비율이 20~30%에 그친다. 비싼 약가도 문제다.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면역관문억제제의 월평균 치료 비용은 약 1만3000만달러(약 1500만원)에 달한다. 연간으로 1억원이 넘는다. 면역관문억제제의 낮은 반응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병용요법도 약가를 높이게 된다. 면역관문억제제가 비싼 이유는 항체 의약품의 제조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화학 의약품은 화학적인 합성 방법을 통해 제조돼 생산 비용이 싸다. 그러나 단백질(항체)을 치료 성분으로 하는 항체 의약품은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다.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세포를 배양하고, 이 세포가 만들어낸 물질 중 필요한 항체만을 걸러내는 정제 과정이 필요하다. 이 같은 생산시설의 유지관리 비용도 기존보다 많이 든다.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
제임스 앨리슨 미국 텍사스대 MD앤더슨암센터 교수는 면역체계에서 제동장치 역할을 하는 단백질 ‘CTLA-4’를 연구했다. CTLA-4와 결합해 그 기능을 차단하는 항체 개발을 주도했고, 세계 첫 면역관문억제제 ‘여보이’를 탄생시켰다. 여보이는 2011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악성 흑색종 치료제로 허가받았다.
혼조 다스쿠 일본 교토대 명예교수는 면역세포인 T세표의 표면에 나타나는 ‘PD-1’ 단백질을 처음 발견했다. PD-1이 암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PD-L1’ 단백질과 만나면 T세포는 암세포를 공격하지 못한다. 혼조 교수의 연구는 PD-1 단백질에 먼저 결합하는 면역관문억제제인 ‘키트루다’와 ‘옵디보’의 개발로 이어졌다.
면역관문억제제는 이렇듯 암세포가 T세포를 속이는 과정을 막아 정상적인 면역 활동을 통해 암을 치료하는 의약품이다. 면역관문억제제가 노벨상을 받은 이유는 암 완치의 가능성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면역관문억제제도 극복해야 할 과제들이 있다. 면역관문억제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이용해 기존 항암제의 독성 및 내성 문제를 해결했다. 다만 효과를 보는 환자의 비율이 20~30%에 그친다. 비싼 약가도 문제다.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면역관문억제제의 월평균 치료 비용은 약 1만3000만달러(약 1500만원)에 달한다. 연간으로 1억원이 넘는다. 면역관문억제제의 낮은 반응률을 높이기 위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는 병용요법도 약가를 높이게 된다. 면역관문억제제가 비싼 이유는 항체 의약품의 제조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화학 의약품은 화학적인 합성 방법을 통해 제조돼 생산 비용이 싸다. 그러나 단백질(항체)을 치료 성분으로 하는 항체 의약품은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만들어진다. 특정 단백질을 만들어낼 수 있는 세포를 배양하고, 이 세포가 만들어낸 물질 중 필요한 항체만을 걸러내는 정제 과정이 필요하다. 이 같은 생산시설의 유지관리 비용도 기존보다 많이 든다.
한경닷컴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