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창업선도대학 선정 기준 바꿀 때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졸업생 대비 창업자 수 고려하고
ICT 접목 사회적 기업 주목하며
글로벌 창업 사례에 가중치 줘야
안진원 < 한동대 교수·경제학 >
ICT 접목 사회적 기업 주목하며
글로벌 창업 사례에 가중치 줘야
안진원 < 한동대 교수·경제학 >
중소기업청이 2011년부터 시작했고, 중소벤처기업부가 이어받아 운영하는 창업선도대학 육성 사업은 우수 인프라를 갖춘 전국 40여 개 대학을 지원해 창업의 요람으로 키우는 사업이다. 주요 사업 내용은 창업아이템 사업화, 사관학교식 프로그램 및 창업지원단 운영, 자율·특화 프로그램 지원, 실전형 창업교육 지원 등이다. 2016년 기준 전국 34개 대학이 총 997개 과제에 대해 753억원의 예산을 지원받고 있다.
창업선도대학 사업이 고용 창출에 혁신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하려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고려해 선정 방식을 바꿔야 한다. 우선 기존 창업선도대학 사업 심사에서는 주로 절대적 창업 성과(창업기업 수)만 고려한다. 이는 역사가 짧고 졸업생이 적은 대학에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창업 교육 과정에 탁월한 미국의 뱁슨칼리지, 올린칼리지, 베일러대, 버룩칼리지 등은 규모가 작은 대학이지만 상대적으로 창업자 배출에서 강점을 보이는 명문이다. 총 졸업생 대비 창업자 수, 즉 상대적 창업 성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얘기다.
둘째,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는 사회적 기업 창업을 위한 창업선도대학이 필요하다. 이공, 제조업 바탕의 창업선도대학만 강조하면 인문, 문화, 사회 등 분야의 중소기업 등도 포괄하는 창업이란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라민은행, 아쇼카재단, 에코잉그린, 스콜재단, 슈밥재단 등과 같이 빈곤·질병 퇴치, 사회적 교육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창업하는 젊은이를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적 기업의 고용효과를 보면 미국의 경우 1990년대 뉴욕시 전체 총 고용 증가는 4%에 불과했으나 사회적 기업 분야에서는 25%나 늘었다. 존스홉킨스대 연구에 따르면 1990~1995년 8개 선진국에서 사회적 기업 분야 고용은 경제 전체 고용보다 2.5배 빠르게 늘었다.
이뿐만 아니라 2007년, 저소득 및 소외계층 교육 등을 위해 힘쓰는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에 명문대 졸업 예정자들이 대거 지원한 현상 등을 보면 청년층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대한 높은 열정을 사회적 기업 창업으로 이어지게 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가 ICT 융합기술 분야를 바탕으로 유엔이 제시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국제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기업 창업을 장려한다면, 통일을 앞두고 국제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업선도대학 선정에는 글로벌 창업에 가중치를 줘야 한다. 우리나라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로, 전 세계 생산활동의 98.1%가 우리나라 이외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다. 글로벌 창업이 요구되는 까닭이다.
글로벌 창업 인프라의 확장성 측면에서 탄탄한 역량을 자랑하는 대학들이 많다.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창업한 사례로 국내에는 트리 플래닛(Tree Planet), 티치 포 올 코리아(Teach for All Korea), 향기내는사람들 등이 있으며, 국외에는 베트남 NIBC, 르완다 라즈만나(Rz Manna), 네팔 코버넌트 아카데미 중고교 등이 있다. 국내에 법인을 등록하고 경제성장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으로 진출을 꾀하는 창업에 기회를 줘야 더 많은 고용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선정 기준을 바꿔 중기부가 지원하는 사업다운 창업선도대학으로 거듭나기 바란다.
창업선도대학 사업이 고용 창출에 혁신적으로 기여할 수 있게 하려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를 고려해 선정 방식을 바꿔야 한다. 우선 기존 창업선도대학 사업 심사에서는 주로 절대적 창업 성과(창업기업 수)만 고려한다. 이는 역사가 짧고 졸업생이 적은 대학에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창업 교육 과정에 탁월한 미국의 뱁슨칼리지, 올린칼리지, 베일러대, 버룩칼리지 등은 규모가 작은 대학이지만 상대적으로 창업자 배출에서 강점을 보이는 명문이다. 총 졸업생 대비 창업자 수, 즉 상대적 창업 성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얘기다.
둘째,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는 사회적 기업 창업을 위한 창업선도대학이 필요하다. 이공, 제조업 바탕의 창업선도대학만 강조하면 인문, 문화, 사회 등 분야의 중소기업 등도 포괄하는 창업이란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다. 그라민은행, 아쇼카재단, 에코잉그린, 스콜재단, 슈밥재단 등과 같이 빈곤·질병 퇴치, 사회적 교육 등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창업하는 젊은이를 배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사회적 기업의 고용효과를 보면 미국의 경우 1990년대 뉴욕시 전체 총 고용 증가는 4%에 불과했으나 사회적 기업 분야에서는 25%나 늘었다. 존스홉킨스대 연구에 따르면 1990~1995년 8개 선진국에서 사회적 기업 분야 고용은 경제 전체 고용보다 2.5배 빠르게 늘었다.
이뿐만 아니라 2007년, 저소득 및 소외계층 교육 등을 위해 힘쓰는 티치 포 아메리카(Teach for America)에 명문대 졸업 예정자들이 대거 지원한 현상 등을 보면 청년층의 사회적 가치 실현에 대한 높은 열정을 사회적 기업 창업으로 이어지게 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가 ICT 융합기술 분야를 바탕으로 유엔이 제시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등 국제 문제 해결을 위한 사회적 기업 창업을 장려한다면, 통일을 앞두고 국제 무대에서 우리나라의 소프트 파워를 강화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창업선도대학 선정에는 글로벌 창업에 가중치를 줘야 한다. 우리나라가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로, 전 세계 생산활동의 98.1%가 우리나라 이외 지역에서 이뤄지고 있다. 글로벌 창업이 요구되는 까닭이다.
글로벌 창업 인프라의 확장성 측면에서 탄탄한 역량을 자랑하는 대학들이 많다.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해 창업한 사례로 국내에는 트리 플래닛(Tree Planet), 티치 포 올 코리아(Teach for All Korea), 향기내는사람들 등이 있으며, 국외에는 베트남 NIBC, 르완다 라즈만나(Rz Manna), 네팔 코버넌트 아카데미 중고교 등이 있다. 국내에 법인을 등록하고 경제성장률이 높은 개발도상국으로 진출을 꾀하는 창업에 기회를 줘야 더 많은 고용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선정 기준을 바꿔 중기부가 지원하는 사업다운 창업선도대학으로 거듭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