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3년 만에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진환자가 나오자 정부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는 비상대책본부를 꾸리는 등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다. 초기 대응에 실패해 38명이 사망한 2015년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이낙연 국무총리(왼쪽)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메르스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왼쪽)가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긴급 메르스 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8일 밤 12시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7일 저녁부터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과 다섯 차례 통화를 하면서 충분히 설명을 들었다”며 “2015년의 실패를 기억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9일 오후 2시에 열린 관계장관회의에서도 “(2015년엔) 대응이 더뎠고, 불투명한 관리로 국민 걱정을 증폭시켰다”며 “반면교사로 삼아서 초동 대응을 제대로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격리된 22명과 그 가족 또는 우리가 모르는 22명과 접촉한 분들의 협조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지자체들도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환자와 가까이 접촉을 했거나(밀접접촉자) 같은 공간에 있었던 사람(일상접촉자)들이 전국 각지로 흩어졌기 때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8일 지방 일정을 소화하다가 메르스 환자 발생 소식을 듣고 급히 시청으로 돌아와 심야대책회의를 열었다. 서울시는 이날 오후 6시부터 비상방역대책반을 운영하면서 환자와 2m 이내 거리에서 접촉한 밀접접촉자 격리 및 모니터링에 나섰다. 현재 파악된 서울시의 밀접접촉자는 10명이다.

경기도도 이날 비상근무체제에 들어갔다. 경기도는 지역에 사는 밀접접촉자 2명을 대상으로 해당 보건소를 통해 ‘자가격리’ 조처를 완료했다. 또 분당서울대병원, 국군수도병원, 명지병원 등 국가지정 격리치료병원 3곳, 26실, 28병상의 점검을 마쳤다. 경상남도는 확진환자와 같은 비행기를 탔던 승객 1명을 자가격리하고 매일 2차례 증상 유무를 확인하고 있다.

2명의 일상접촉자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전라북도는 전북대병원이 운영 중인 국가지정 음압격리병실 5개 병상과 군산의료원 2개 병상의 가동 준비를 지시했다. 일상접촉자 8명의 명단을 통보받은 대전시도 14일 이내 증상이 있으면 의심환자에 준한 검사와 격리입원 등의 조처를 할 계획이다.

박진우 기자 jw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