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 '폭염대응력 향상방안'…"녹지확대·건물 축열량 저감"
"폭염시 시민 절반 신체변화 경험…4명 중 1명 특보 때도 평소처럼 행동"
"서울, 폭염에 취약… 열환경 개선 종합대책 마련 시급"
올여름 서울의 최고기온은 39.6도로 111년 기상 관측 사상 최고 기록을 세웠다.

또 최장 열대야 지속일(26일) 경신, 날짜별 최고기온 7차례 경신 등 연일 기록을 갈아치웠다.

온열질환자 수도 613명으로 작년 106명에 비해 5.8배나 증가했다.

서울의 여름 기온은 앞으로도 계속 오를 가능성이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21세기 후반(2071∼2100년) 서울의 여름일수는 146일, 열대야일수는 72일, 폭염일수는 73.4일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문제는 서울이 인구밀도가 높은 데다 빗물이 스며들 수 없는 면적 비율인 불투수 면적률이 주거·상업·공업 지역 등 도심화 지역 366.5㎢ 내 280.8㎢로 77%(2015년 기준)에 달해 고온과 폭염에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다.

또한 빌딩이 바람 통로를 막고 아스팔트와 콘크리트가 많은 열을 흡수·저장하는 등 도시열섬화현상 촉진으로 폭염이 증폭되고 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종합적 대책을 세워 '폭염 재난'에 대응해야 한다.

서울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시 폭염 대응력 향상방안'을 31일 발표했다.

연구원은 폭염이 인명피해가 가장 큰 기상재해라며, 서울시가 열환경 개선 종합 대책 수립을 통해 폭염 대응력을 강화해야한다고 밝혔다.

연구에 따르면 폭염에 의한 초과 사망자 수는 일반적 기상재해에 따른 사망자 수의 2배 이상에 달한다.

특히 폭염에 취약한 서울은 폭염 시 기온이 1도 오르면 사망률이 16%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서울시 전 부서가 협력해 열환경을 고려한 도시조성, 건물의 축열량 저감과 증발산 촉진, 하천환경 개선과 물길 조성, 녹지 확대와 인공설비를 활용한 물순환 촉진, 도로 중앙부에서 물을 분사하는 시스템으로 열기를 식혀주는 도로 관리 등을 이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열 방출을 최소화하고, 열을 가두지 않고, 열을 받지 않는 전략으로 도시를 정비하는 방안을 마련해야한다는 것이다.

연구원은 또한 서울시가 단기적으로는 버스정류장 차양확대, 녹음이 풍부한 가로수 확대, 지하철역사 냉방개선, 물 분무 등 물을 이용한 국지적 냉각 등의 사업을 추진해 도시의 체감열기를 낮추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 폭염에 취약… 열환경 개선 종합대책 마련 시급"
시민 역시 폭염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양산 쓰기, 지하공간 이용하기, 내 집 앞 물 뿌리기 등을 실천해 적극적으로 폭염에 대응해야 한다.

한편, 서울연구원이 2017년 19세 이상 서울시민 1천명과 취약계층(기초생활수급권자 중 65세 이상이거나 장애가 있는 사람)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폭염에 대해 피로감 등 신체변화를 느끼는 시민은 많지만 폭염 경각심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2일의 폭염일수를 기록한 2016년 폭염 시 서울시민은 피로감(57.8%), 수면부족(48.3%), 과도한 땀 흘림(47.3%), 집중력 저하(47.2%) 등의 신체변화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시민 25%는 폭염특보 후에도 평소와 다름없이 행동했다.

폭염 시 시민이 불편함을 호소하는 장소는 '보도'가 85.1%로 가장 많았고, 취약계층은 열대야로 인한 고통을 호소하는 비율이 92.5%에 이르렀다.

서울시민이 원하는 폭염 대비 정책 1순위는 전기요금 인하(54.9%)로 나타났다.

야외공간 그늘 확보(47.7%), 폭염대피소 개선(41.9%), 취약계층 지원(37.5%) 등이 뒤를 이었다.

서왕진 서울연구원장은 "앞으로 더 무더워지고, 더 길어질 서울의 여름을 종합적으로 대비하는 체계를 시급히 갖추어야 한다"며 "연구원도 도시 운영 전반의 열환경 개선 방향을 연구해 정책을 뒷받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