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200지수의 6월 정기 변경(리밸런싱)을 앞둔 가운데 동원산업과 영풍 등 7개 종목이 편입되고 코스모신소재와 두산퓨얼셀 등 7개 종목은 편출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는 6월13일 코스피200·코스닥150지수의 정기 변경이 예정돼 있다. 심사 대상 기간은 지난해 11월1일부터 이번달 30일까지 6개월이다. 패시브 펀드는 동시 만기일인 6월12일 종가 부근에서 리밸런싱이 진행될 예정이다.신한투자증권은 이날 보고서를 통해 △HD현대마린솔루션 △한국카본 △DN오토모티브 △HDC △영풍 △동원산업 △미원에스씨 등 7개 종목이 코스피200지수에 새로 편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코스모신소재 △두산퓨얼셀 △LX인터내셔널 △SK네트웍스 △한세실업 △삼아알미늄 △일진하이솔루스 등 7개 종목은 편출될 것으로 봤다.이 증권사 조민규 연구원은 "편출 예상 종목군의 거래대금 대비 수급 유출 비율 평균은 1247%로 다소 높은 편"이라며 "리밸런싱일 전후로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코스닥150지수에는 △파두 △중앙첨단소재 △필옵틱스 △태성 △성광벤드 △동성화인텍 △하이젠알앤엠 △한국기업평가 등 8개 종목이 신규 편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다원시스 △더블유씨피 △제이오 △지씨셀 △미래나노텍 △윤성에프앤씨 △네패스 △티이엠씨 등 8개 종목은 편출될 것으로 전망된다.조 연구원은 "네패스와 다원시스의 거래대금 대비 수급 유출 비율은 각각 1024%와 905%로 평균을 크게 웃돈다"며 "리밸런싱에 따른 매도 압력이 있을 공산이 크다"고 짚었다.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
넷마블 주가가 바닥을 다지고 반등 채비에 나섰다. 지난해부터 비용 절감에 돌입한 상황에서 최근 출시작인 'RF 온라인 넥스트'가 흥행하자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가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증권가에선 앞으로도 신작 출시가 이어지면서 주가가 상승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한다.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넷마블은 전날 0.33% 오른 4만5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9일 기록한 최저가 3만7500원과 비교하면 2주 만에 20% 뛰었다. 외국인과 기관투자자가 이달 들어 넷마블을 각각 25억원과 97억원어치 사들이면서 주가 상승을 이끌었다.넷마블 주가가 반등에 나선 건 실적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가 반영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우선 넷마블이 지난해부터 비용을 통제하면서 체질 개선에 나선 게 주효했다는 평가다. 넷마블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마케팅 비용을 전체 매출의 20% 미만에서 관리할 계획이다.또한 올해 추가 인력 채용 계획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승호 DS투자증권 연구원은 "무형자산 손상차손도 마무리되면서 감가상각비 규모와 영업외비용도 줄어들 것"이라며 "사옥 매각 후 장기차입금을 상환하면 연간 1000억원에 달하는 이자도 대폭 감소해 주당순이익(EPS)도 상승할 것"이라고 강조했다.특히 넷마블이 지난달 20일 출시한 신작 'RF 온라인 넥스트'가 흥행에 성공한 것도 투자심리를 개선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는 분석이다. 실제 'RF 온라인 넥스트'는 지난달 출시 6일 만에 구글플레이와 앱스토어에서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했다. 강석오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RF 온라인 넥스트'는 낮은 시장의 기대를 뒤엎고 한 달간 매출 순위 1위를 달성했다&q
NH투자증권은 30일 SOOP에 대해 "글로벌 인지도 제고와 트래픽 상승이 주가에 반영될 것"으로 전망했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11만5000원은 유지했다.이 증권사 안재민 연구원은 "스트리밍 시장의 성장 둔화 우려에도 SOOP의 독보적 콘텐츠 경쟁력은 여전하다"며 "다음달 16일부터 진행될 마케팅으로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 확대를 노릴 것"으로 봤다.이어 "최근 LoL과 발로란트의 멸망전이 동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어 글로벌 SOOP의 트래픽 증가도 기대된다"며 "국내 사업은 비수기인 1분기에도 안정적 성과를 기록한 만큼 올해 캐시카우(핵심 수익원)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그러면서 "글로벌 SOOP의 트래픽 증가와 인지도 개선까지 이어진다면 실적뿐 아니라 주가도 다시 상승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했다.SOOP은 올 1분기 비수기와 광고 시장 침체 상황에서도 시장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를 웃도는 실적을 거뒀다. SOOP의 지난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3.4%와 14.8% 증가한 1077억원과 327억원으로 집계됐다. 영업이익의 경우 시장 전망치인 303억원을 웃돈 수준이다.고정삼 한경닷컴 기자 js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