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수출 포기”…車산업 ‘전전긍긍’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각국의 반대·설득 논리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차 관세 폭탄은 기정사실화되는 양상입니다. 국내 자동차 업계들은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관세 부과와 관련해 공장 이전, 전략 수정, 수출선 다변화 등을 저울질 중이지만 최악의 시나리오를 극복하기에는 이 역시 부족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이어서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미 상무부 공청회장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자동차 수출국들의 성토가 이어졌지만 거기까지였습니다.
‘관세폭탄은 예정된 수순이고 공청회는 요식행위일 뿐’이라는 냉소적인 반응 속에 미국 내부와 각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폭탄 카드는 시간문제라는 관측입니다.
<인터뷰> 박태호 전 통상교섭본부장/서울대 명예교수
“트럼프는 무역해서 흑자 남기는 나라는 미국에 무임승차해서 흑자내는 나쁜사람들이라는 그런 톤이다. 자동차까지도 검토하라는 것. 우리의 경우 더욱 심각한 타격 우려된다”
지난해 85만대를 수출한 미국시장은 우리 자동차 수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거대시장.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차 등 각 사별 대미수출 비중은 18%~50%, 금액으로 15조원에 달하는 가운데 고율관세가 현실화되면 수출 기반 자체가 휘청이게 됩니다.
특히 기아차 광주공장은 주력생산 차종인 ‘쏘울’ 생산 물량의 66%를 미국으로 수출할 만큼 비중이 높아 공장의 존립마저 우려해야 하는 처지입니다.
완성차 업체들의 수출 급감은 차 부품·협력업체의 공장가동률 하락, 자금난 등 경영난으로 고스란히 이어지게 돼 자동차 산업 전체, 지역경제의 생태계마저 뒤흔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업계에서는 관세폭탄을 감안해 가격조정, 수출차종 변경, 글로벌 전략 수정, 공장이전, 수출선 다변화를 모색해 보지만 이마저도 근본 대안이 되지 못합니다.
일본차 등과의 가격경쟁을 감안하면 관세인상분 전체를 가격에 반영할 수도 없는데다 해외공장 이전은 협력업체, 지역사회와 뗄래야 뗄 수 없는 이유에서입니다.
<인터뷰>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
“한국경제 전체적으로 보면 언제나 대외변수에 민감하게 반응 고질적인 문제 고쳐나가야 하고 통상조건 어떻게 됐건 물건 잘 만들면 사준다. 산업경쟁력, 제품경쟁력 키워야 하는 과제”
우방은 결국 관세라는 방아쇠를 당길 준비를 마쳤고 자동차와 우리나라 수출은 유탄을 피할 길 없는 무역전쟁의 한복판에 서게 될 공산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각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이 주를 이루는 현시점에서 제품경쟁력 자체를 높이고 대외의존도를 낮추는 등 경제·수출 체질개선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가 더욱 분명해 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앞서 보신 것처럼 각국의 반대·설득 논리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차 관세 폭탄은 기정사실화되는 양상입니다. 국내 자동차 업계들은 사형선고나 다름없는 관세 부과와 관련해 공장 이전, 전략 수정, 수출선 다변화 등을 저울질 중이지만 최악의 시나리오를 극복하기에는 이 역시 부족하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이어서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미 상무부 공청회장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주요 자동차 수출국들의 성토가 이어졌지만 거기까지였습니다.
‘관세폭탄은 예정된 수순이고 공청회는 요식행위일 뿐’이라는 냉소적인 반응 속에 미국 내부와 각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폭탄 카드는 시간문제라는 관측입니다.
<인터뷰> 박태호 전 통상교섭본부장/서울대 명예교수
“트럼프는 무역해서 흑자 남기는 나라는 미국에 무임승차해서 흑자내는 나쁜사람들이라는 그런 톤이다. 자동차까지도 검토하라는 것. 우리의 경우 더욱 심각한 타격 우려된다”
지난해 85만대를 수출한 미국시장은 우리 자동차 수출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거대시장.
현대·기아차, 한국GM, 르노삼성차 등 각 사별 대미수출 비중은 18%~50%, 금액으로 15조원에 달하는 가운데 고율관세가 현실화되면 수출 기반 자체가 휘청이게 됩니다.
특히 기아차 광주공장은 주력생산 차종인 ‘쏘울’ 생산 물량의 66%를 미국으로 수출할 만큼 비중이 높아 공장의 존립마저 우려해야 하는 처지입니다.
완성차 업체들의 수출 급감은 차 부품·협력업체의 공장가동률 하락, 자금난 등 경영난으로 고스란히 이어지게 돼 자동차 산업 전체, 지역경제의 생태계마저 뒤흔들 가능성이 높습니다.
업계에서는 관세폭탄을 감안해 가격조정, 수출차종 변경, 글로벌 전략 수정, 공장이전, 수출선 다변화를 모색해 보지만 이마저도 근본 대안이 되지 못합니다.
일본차 등과의 가격경쟁을 감안하면 관세인상분 전체를 가격에 반영할 수도 없는데다 해외공장 이전은 협력업체, 지역사회와 뗄래야 뗄 수 없는 이유에서입니다.
<인터뷰>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실장
“한국경제 전체적으로 보면 언제나 대외변수에 민감하게 반응 고질적인 문제 고쳐나가야 하고 통상조건 어떻게 됐건 물건 잘 만들면 사준다. 산업경쟁력, 제품경쟁력 키워야 하는 과제”
우방은 결국 관세라는 방아쇠를 당길 준비를 마쳤고 자동차와 우리나라 수출은 유탄을 피할 길 없는 무역전쟁의 한복판에 서게 될 공산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각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이 주를 이루는 현시점에서 제품경쟁력 자체를 높이고 대외의존도를 낮추는 등 경제·수출 체질개선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가 더욱 분명해 지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