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개국 시총 1900兆 달해
美·싱가포르선 '증시 안전판'
국내 시총은 4000억 불과
1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세계 37개국의 상장리츠 규모는 총 1조6900억달러(약 1900조원)다. 한국은 ‘홈플러스 리츠’가 상장하더라도 시가총액 1조원가량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최근 국내 은행과 증권사 창구에선 자산가에게 캐나다, 싱가포르 등에 상장된 리츠주(株)를 추천하거나 상장리츠를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를 권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고 있다. 국내 상장리츠 시장 발전이 더뎌 벌어지는 일이다. 안정적인 배당주이면서 변동폭도 크지 않은 리츠주의 매력은 고액자산가, 기관투자가에 이미 알려져 있다. 시총 내 비중이 큰 편인 미국, 싱가포르에선 증시를 떠받치는 ‘안전판’ 역할도 한다.
미국에선 지역별, 산업별, 상품별로 다양한 리츠가 활성화돼 있다. 뉴욕주 인근 혹은 남서부 대도시에만 투자하거나 정부가 임차한 오피스빌딩에 투자하는 리츠, 트럭·터미널·냉장시설 등 산업시설에만 투자하는 리츠 등 다양한 전문 리츠가 있다. 상당수가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돼 있다. 싱가포르 상장리츠는 세계 곳곳의 핵심 부동산에 장기 투자해 쏠쏠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글로벌 리츠주의 ‘큰손’ 투자자는 퇴직연금이다. 리츠주의 안정적인 배당 매력을 선호해서다. 미국 캐나다 싱가포르 등에선 사모 부동산 펀드와 상장리츠의 역할 분담이 잘 이뤄져 있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사모 부동산 펀드는 부동산 리모델링 및 개발사업 등 ‘고위험, 고수익’ 투자를 하고, 상장리츠는 안정화된 부동산을 장기 보유한다.
정부가 상장리츠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여전히 규제는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 리츠가 상장하기 위해선 부동산성 자산 70% 이상을 담아야 한다. 리츠가 리츠주를 담는 모자(母子)리츠의 활성화를 막고, 리츠 간 인수합병(M&A)을 저해하는 규제로 꼽힌다.
리츠업계에선 상장리츠 활성화를 위한 ‘당근’도 요구하고 있다. 당분간 리츠 배당금을 종합소득세에 편입하지 않고 분리과세하거나, 보험사가 주식에 투자할 경우 적립해야 하는 위험부담금 비율을 리츠주에 한해 경감해주는 안이 거론된다.
김대훈 기자 daep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