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전기車 배터리 원료' 캐나다서 수혈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LG화학이 고용량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의 안정적 수급 체계를 확보했다.
LG화학은 4일 캐나다 네마스카리튬사와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으로 LG화학은 2020년 하반기부터 매년 수산화리튬 7000t을 공급받는다. 계약 기간은 5년이다. 최근 전기차 배터리 업계는 원가 절감과 성능 개선을 위해 배터리 양극재에 들어가는 코발트 함량을 줄이고 니켈 비중을 높이고 있다. 니켈은 고온에서 리튬과 함께 녹여 합성하면 양극재가 된다. 그러나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합성이 잘 되지 않아 탄산리튬보다 수산화리튬을 사용하는 추세다. 수산화리튬 7000t은 한 번 충전으로 320㎞ 이상 달리는 전기차용 배터리 14만 개를 생산할 수 있는 분량이다.
LG화학은 안정적인 배터리 생산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국내외 회사들과 손잡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세계 1위 코발트 정련회사인 중국 화유코발트와 전구체 및 양극재 생산 법인을 설립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황산니켈 생산업체인 켐코 지분을 10% 확보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
LG화학은 4일 캐나다 네마스카리튬사와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으로 LG화학은 2020년 하반기부터 매년 수산화리튬 7000t을 공급받는다. 계약 기간은 5년이다. 최근 전기차 배터리 업계는 원가 절감과 성능 개선을 위해 배터리 양극재에 들어가는 코발트 함량을 줄이고 니켈 비중을 높이고 있다. 니켈은 고온에서 리튬과 함께 녹여 합성하면 양극재가 된다. 그러나 온도가 너무 높으면 합성이 잘 되지 않아 탄산리튬보다 수산화리튬을 사용하는 추세다. 수산화리튬 7000t은 한 번 충전으로 320㎞ 이상 달리는 전기차용 배터리 14만 개를 생산할 수 있는 분량이다.
LG화학은 안정적인 배터리 생산 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국내외 회사들과 손잡고 있다. 지난 4월에는 세계 1위 코발트 정련회사인 중국 화유코발트와 전구체 및 양극재 생산 법인을 설립했다. 지난해 11월에는 황산니켈 생산업체인 켐코 지분을 10% 확보했다.
박상익 기자 dir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