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6월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미·북 정상회담을 기대하고 있다. (회담 개최) 계획은 바뀌지 않았다”고 말했다. 지난 24일 회담을 전격 취소하며 북한을 압박한 지 이틀 만에, 북한이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 명의로 사실상의 ‘사과 담화’를 내놓은 지 하루 만에 싱가포르 회담 재논의를 공식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칼자루를 다시 쥔 가운데 미·북 정상회담 준비가 다시 궤도에 오르는 모양새다. 양국은 보름가량 남은 회담을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실무 접촉을 시작했다. 남은 관심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은 ‘신속 비핵화-단계적 보상’을 놓고 얼마나 입장차를 좁힐 수 있을지에 쏠리고 있다.

이제 칼자루는 트럼프 손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베네수엘라에 억류됐다가 풀려난 미국인을 만난 자리에서 미·북 정상회담 개최와 관련해 “미·북 정상회담 개최 논의가 아주 잘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어떤 장소에서 양국 간 미팅이 진행 중”이라고 귀띔하며 접촉 사실까지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틀 전 북한의 분노와 적대적 담화를 이유로 회담 취소를 전격 발표했다가 김계관의 사과 담화가 나오자 “회담이 다시 열릴 수도 있다”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뉴욕타임스는 이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요구하는 미국을 상대로 거친 반발을 하다가 갑자기 자세를 낮춘 배경엔 현실론이 작용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중국과의 교역만으로는 그가 북한 주민들에게 약속한 경제 건설을 완성할 수 없다는 절박감이 컸다는 것이다. 워싱턴 소식통은 “트럼프 대통령도 오는 11월 중간 선거를 앞두고 북한과 중국을 상대로 거친 싸움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부담감을 안게 된 상황”이라며 “회담 준비 재개는 양측의 절박한 상황이 맞아떨어진 결과”라고 말했다.

미국과 북한이 열흘여간 갈등 과정에서 서로 챙긴 것도 적지 않다.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개최 전 김정은과의 기(氣)싸움에서 승리함으로써 내부적으로 북한에 끌려간다는 여론을 잠재우고 회담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됐다. 김정은은 회담 연기 또는 취소 협박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리비아식 비핵화 해법에 대한 철회라는 양보를 얻어냈다.
칼자루 다시 쥔 트럼프 "6·12 회담 바뀌지 않았다… 아주 잘 진행"
FT “北, 주한미군 철수 요구할 수도”

미국과 북한은 현재 완전한 비핵화와 그에 따르는 체제 보장, 경제 지원이라는 큰 틀에는 합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문제는 비핵화 방식이다. 미국은 ‘선(先)비핵화-후(後)보상’이라는 리비아식 모델을, 북한은 비핵화 단계마다 보상이 뒤따르는 ‘단계적·동시적’ 비핵화 방식을 주장하고 있다.

CNN과 워싱턴포스트 등 미국 언론들은 앞으로의 회담 준비 과정이 ‘트럼프식 비핵화 모델’에 대한 이견을 좁히는 데 모일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물리적으로 단계적 접근이 조금 필요할지도 모르겠다”며 북측 요구를 일부 수용할 뜻을 내비쳤다. 북한은 김계관 담화를 통해 “우리는 트럼프 방식이라는 것이 쌍방의 우려를 다같이 해소하고 우리의 요구 조건에도 부합되는 방안이 되기를 은근히 기대했다”고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모델’이 핵탄두와 장거리탄도미사일(ICBM) 등 핵무기를 먼저 폐기하고, 나머지 핵 물질·시설 등에 대한 검증은 시간을 두고 추진하는 남아프리카공화국 모델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남아공은 1993년 자발적으로 핵 포기를 선언한 뒤 2년 반에 걸쳐 빠르게 핵 무기를 폐기했다. 그러나 검증 작업은 시간을 두고 천천히 이뤄졌다. 북한이 단기간에 핵무기를 완전 폐기하면 경제제재 해제 등으로 1차 보상하고, 민간 투자 등 본격적 경제 지원은 이후 검증 절차 과정에 따라 진행한다는 모델이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김정은이 체제 안정을 위해 트럼프 대통령에게 주한미군과 전략적 자산을 한국과 한반도 일대에서 철수시킬 것을 요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워싱턴=박수진 특파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