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청와대 제공
사진=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남북한 정상회담을 가진 건 4·27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고 한 달 만이다. 현직 대통령이 북한 최고 지도자와 두 차례 만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한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가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김정은과 회담을 가졌다. 이날 회담에는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만 배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정상의 ‘재만남’은 사상 처음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과 노무현 전 대통령이 각각 2000년과 2007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가졌지만, 한 차례에 그쳤다. 지난 4·27 남북 정상회담은 판문점 남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이번 정상회담은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이뤄졌다. 사실상 문 대통령이 구상한 남북 교대 방문 정상회담의 형태가 됐다.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는 문 대통령뿐 아니라 김대중·노무현 전 대통령 역시 추진했다. 문 대통령은 저서 ≪운명≫에서 2007년 노 전 대통령이 정례화를 추진했지만 북측이 반대하면서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고 밝혔다. 김정일이 남측을 방문할 수 없다는 이유에서였다.

다만 이번 만남이 미·북 정상회담을 앞두고 전격 이뤄진 터라 남북 정상회담 정례화로 이어질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판문점 선언에도 남북 고위급 회담을 빠른 시일 안에 개최한다는 등의 내용은 합의됐지만, 회담 정례화는 합의되지 못했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