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자 증가폭이 3개월째 10만 명을 겨우 넘는 수준에 그쳤다. 취업자 증가폭이 3개월 연속 10만 명대를 벗어나지 못한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이다. 자동차와 조선업 구조조정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 수가 11개월 만에 감소한 게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일시적 현상’으로 끝날 것이란 정부 예상과 달리 전반적인 경기 하강 국면과 맞물려 ‘고용 쇼크’가 장기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16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686만8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만3000명 증가했다. 취업자 증가폭은 올 1월까지만 해도 평균 30만 명대를 유지하다가 2월 10만4000명, 3월 11만2000명으로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8월~2010년 2월 이후 3개월 연속은 처음이다.

산업별로 보면 증가세를 이어갔던 제조업의 악화가 두드러졌다. 작년 6월부터 10개월 연속 취업자가 증가한 제조업은 지난달 6만8000명 줄어 감소로 전환했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제조업 중에서 기타운송장비(조선업 등)와 자동차 등에서 취업자 감소폭이 컸다”고 설명했다.

최저임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업종인 숙박 및 음식점업 취업자는 2만8000명 줄었다. 이 업종은 작년 6월부터 11개월 연속 취업자가 감소했다.

전체 실업자 수는 116만1000명으로 1년 전보다 6000명 줄었으나 올 1월부터 4개월 연속 100만 명을 웃돌았다. 실업률은 4.1%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0.5%포인트 떨어진 10.7%였다.

빈 과장은 “사회복지 직렬 공무원 시험 시기가 작년에는 4월이었으나 올해는 5월로 늦춰져 실업률이 일시적으로 하락했다”고 말했다. 공무원 응시생은 평소에는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돼 실업률 계산 시 제외되지만, 응시원서를 제출하면 취업 의사가 있으면서 취업을 못한 경제활동인구(실업자)로 잡힌다. 지난달 실업률이 소폭 하락한 것은 공무원 응시생이 아직 실업자로 잡히지 않은 영향이 컸다는 의미다.

문제는 이 같은 고용 악화가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점이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와 청와대는 최근 취업자 증가 둔화가 지난해 같은 기간 취업자 수가 많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라고 설명하고 있다”며 “하지만 경기 침체국면에 들어서며 고용이 장기적으로 감소 추세로 간다고 보는 게 맞다”고 했다. 조 교수는 “정부가 통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기보다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있다는 인상을 준다”고 말했다.

이태훈/고경봉 기자 bej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