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경제·금융 컨퍼런스 11일 개막] "트럼프의 무역전쟁은 정치적 쇼… 보호무역으로 美기업 피해 볼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니 로드릭 하버드대 교수·야오양 中국가발전연구원장
"美의 관세 폭탄 이면엔 中 견제하려는 의도 있어"
"美의 관세 폭탄 이면엔 中 견제하려는 의도 있어"
미국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무역전쟁은 정치적인 속임수에 불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니 로드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교수는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강경 노선으로 많은 미국 기업이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며 “일부 산업의 소수 근로자를 위해 대다수 노동자의 이익이 훼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로드릭 교수는 노벨경제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는 세계화 및 경제발전 이론의 대가다. 그는 《세계화 패러독스》라는 책에서 ‘세계화, 민주주의, 국민국가’라는 세 가지 개념이 공존할 수 없다는 점을 수학적으로 입증해 주목받았다. 국민국가의 역할을 강조하고 세계화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경계해야 한다는 게 지론이다.
하지만 로드릭 교수조차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에 대해 “다자간 무역의 공정성을 되찾기 위한 목적이더라도, 그런 문제를 개선하기보다 오히려 악화시키고 있다”고 꼬집었다.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은 자국 내 문제를 감추기 위한 속임수라고도 했다. 로드릭 교수는 “세계화로 이익을 본 기업과 자본가들이 소외계층에 빵을 나눠주도록 하는 조치는 전혀 없다”며 “무역전쟁은 자국 내 불만을 엉뚱한 곳으로 돌리고 문제를 은폐하려는 쇼”라고 주장했다.
야오양 중국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장 역시 무역전쟁이 상대국뿐만 아니라 미국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 다만 야오 교수는 미국의 대(對)중국 조치가 첨단 기술 분야에 집중됐다는 데 주목했다. 그는 “미국이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무역전쟁에 나선 이면에는 정치적인 배경이 깔려 있다”며 “단순히 무역수지를 개선하려는 차원은 아니다”고 분석했다.
야오 교수는 “중국이 자본주의 개혁·개방에 나서면 미국은 같은 철학을 공유하게 될 것이란 믿음을 지난 40여 년간 가져왔다”며 “하지만 중국은 더 이상 설득할 수 있는 나라가 아니며 미국의 전략적 라이벌일 뿐이란 게 미국인의 시각”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시진핑 국가주석이 장기 집권 체제를 완비하는 등 당초 기대와 다른 길을 걷자 미국의 이 같은 인식이 확고해졌다는 분석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대니 로드릭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교수는 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의 보호무역주의 강경 노선으로 많은 미국 기업이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며 “일부 산업의 소수 근로자를 위해 대다수 노동자의 이익이 훼손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로드릭 교수는 노벨경제학상 수상 후보로 거론되는 세계화 및 경제발전 이론의 대가다. 그는 《세계화 패러독스》라는 책에서 ‘세계화, 민주주의, 국민국가’라는 세 가지 개념이 공존할 수 없다는 점을 수학적으로 입증해 주목받았다. 국민국가의 역할을 강조하고 세계화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을 경계해야 한다는 게 지론이다.
하지만 로드릭 교수조차 트럼프 대통령의 무역정책에 대해 “다자간 무역의 공정성을 되찾기 위한 목적이더라도, 그런 문제를 개선하기보다 오히려 악화시키고 있다”고 꼬집었다.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은 자국 내 문제를 감추기 위한 속임수라고도 했다. 로드릭 교수는 “세계화로 이익을 본 기업과 자본가들이 소외계층에 빵을 나눠주도록 하는 조치는 전혀 없다”며 “무역전쟁은 자국 내 불만을 엉뚱한 곳으로 돌리고 문제를 은폐하려는 쇼”라고 주장했다.
야오양 중국 베이징대 국가발전연구원장 역시 무역전쟁이 상대국뿐만 아니라 미국의 이익을 해칠 것이라는 데 공감했다. 다만 야오 교수는 미국의 대(對)중국 조치가 첨단 기술 분야에 집중됐다는 데 주목했다. 그는 “미국이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무역전쟁에 나선 이면에는 정치적인 배경이 깔려 있다”며 “단순히 무역수지를 개선하려는 차원은 아니다”고 분석했다.
야오 교수는 “중국이 자본주의 개혁·개방에 나서면 미국은 같은 철학을 공유하게 될 것이란 믿음을 지난 40여 년간 가져왔다”며 “하지만 중국은 더 이상 설득할 수 있는 나라가 아니며 미국의 전략적 라이벌일 뿐이란 게 미국인의 시각”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시진핑 국가주석이 장기 집권 체제를 완비하는 등 당초 기대와 다른 길을 걷자 미국의 이 같은 인식이 확고해졌다는 분석이다.
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