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수진' 김현종, 귀국전까지 실무자 배제하고 물밑 담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달간 위싱턴서 마라톤 FTA·관세협상…세부사항 조율후 이르면 내주 타결선언
타결 선언 위해 통상장관회담 또는 4차 개정협상 열 가능성
험난했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에서 '원칙적 합의'를 끌어낸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귀국 직전까지 워싱턴DC에서 미국 정부와 치열한 비공식 담판을 벌인 것으로 25일(현지시간) 전해졌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 본부장은 지난 21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따로 만나 우선 한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명령 발효를 4월 말까지 유예하는 데 합의했다.
일단 급한 불을 끈 김 본부장은 미 협상팀과 철강 관세의 영구 면제와 연계된 한미 FTA 협상을 계속 이어갔다.
특히 22일과 23일 이틀간 실무자들을 배제한 채 라이트하이저 대표 등과 고위급 집중 협상을 벌였고, 24일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기를 타기 전까지도 막판 조율을 거듭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김 본부장은 지난 한 달간 대부분을 워싱턴에 머물면서 될 때까지 한다는 '배수진'의 각오를 밝히며 협상을 계속해왔었다. 막판 물밑 협상에서 주로 논의된 분야는 미국 측이 요구해온 미국산 자동차의 한국 내 비관세 장벽(환경·안전 기준) 완화 문제와 자동차 부품 의무 사용, 원산지 규정 강화, 우리 측 요구사항인 '불리한 가용정보'(AFA)와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등 미국 내 무역구제 남용에 대한 안전장치와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ISDS) 개선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본부장은 귀국 직후 인천공항에서 기자들에게 농산물 추가 개방은 없고 자동차 부품의 의무사용과 원산지 문제도 미국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간략히 공개했지만, 우리 요구가 어떻게 반영됐는지는 나중에 설명하겠다고 했다.
김 본부장은 한국 시간으로 26일 오전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원칙적인 합의 내용을 보고하고 나서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우리 협상팀은 앞으로 미국 측과 세부 조율 절차를 계속 진행해 가능한 한 빨리 협상 타결을 마무리 짓는다는 방침이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부 장관 등 미국 정부도 합의에 곧 서명하길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미 양국 협상 당국은 세부 사항의 조율과 실무적인 문구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다시 공식 만남을 갖고 개정 협상 타결을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 타결 선언을 위한 장소와 시기, 형식 역시 아직 정해진 게 없는 상황이다.
제3차 개정 협상을 지난 15~16일 워싱턴DC에서 한 만큼 4차 협상을 서울에서 열면서 협상을 완료하는 방안, 김현종 본부장과 라이트하이저 대표 간 한미통상장관회담을 서울 또는 워싱턴DC에서 열어 타결을 선포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고 한다.
시기는 양국 모두 '조속한 서명'을 원하는 만큼 문구 조율 작업이 순탄할 경우 이르면 다음 주 중에도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연합뉴스
타결 선언 위해 통상장관회담 또는 4차 개정협상 열 가능성
험난했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 협상에서 '원칙적 합의'를 끌어낸 김현종 통상교섭본부장은 귀국 직전까지 워싱턴DC에서 미국 정부와 치열한 비공식 담판을 벌인 것으로 25일(현지시간) 전해졌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 본부장은 지난 21일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따로 만나 우선 한국산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미국의 관세명령 발효를 4월 말까지 유예하는 데 합의했다.
일단 급한 불을 끈 김 본부장은 미 협상팀과 철강 관세의 영구 면제와 연계된 한미 FTA 협상을 계속 이어갔다.
특히 22일과 23일 이틀간 실무자들을 배제한 채 라이트하이저 대표 등과 고위급 집중 협상을 벌였고, 24일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기를 타기 전까지도 막판 조율을 거듭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김 본부장은 지난 한 달간 대부분을 워싱턴에 머물면서 될 때까지 한다는 '배수진'의 각오를 밝히며 협상을 계속해왔었다. 막판 물밑 협상에서 주로 논의된 분야는 미국 측이 요구해온 미국산 자동차의 한국 내 비관세 장벽(환경·안전 기준) 완화 문제와 자동차 부품 의무 사용, 원산지 규정 강화, 우리 측 요구사항인 '불리한 가용정보'(AFA)와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등 미국 내 무역구제 남용에 대한 안전장치와 투자자-국가 분쟁해결제도(ISDS) 개선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본부장은 귀국 직후 인천공항에서 기자들에게 농산물 추가 개방은 없고 자동차 부품의 의무사용과 원산지 문제도 미국 요구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간략히 공개했지만, 우리 요구가 어떻게 반영됐는지는 나중에 설명하겠다고 했다.
김 본부장은 한국 시간으로 26일 오전 열리는 국무회의에서 원칙적인 합의 내용을 보고하고 나서 자세한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우리 협상팀은 앞으로 미국 측과 세부 조율 절차를 계속 진행해 가능한 한 빨리 협상 타결을 마무리 짓는다는 방침이다.
스티븐 므누신 재무부 장관 등 미국 정부도 합의에 곧 서명하길 기대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한미 양국 협상 당국은 세부 사항의 조율과 실무적인 문구 작업이 마무리되는 대로 다시 공식 만남을 갖고 개정 협상 타결을 선언할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 타결 선언을 위한 장소와 시기, 형식 역시 아직 정해진 게 없는 상황이다.
제3차 개정 협상을 지난 15~16일 워싱턴DC에서 한 만큼 4차 협상을 서울에서 열면서 협상을 완료하는 방안, 김현종 본부장과 라이트하이저 대표 간 한미통상장관회담을 서울 또는 워싱턴DC에서 열어 타결을 선포하는 방식 등이 가능하다고 한다.
시기는 양국 모두 '조속한 서명'을 원하는 만큼 문구 조율 작업이 순탄할 경우 이르면 다음 주 중에도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