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석 비서실장, 文대통령 UAE行 수행하고 정상회담 배석
文대통령 "한·UAE 잡음 있었지만 훼손 안돼"…동반자관계 확인
정상차원서 큰 틀의 갈등해소…외교·안보 2+2서 '디테일' 협의
'UAE 특사논란' 수면 아래로…'디테일'은 2+2 협의체로 넘겨
문재인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한·아랍에미리트(UAE) 국방협력 문제를 놓고 두 나라 간 협력·우호 관계에 이상이 없다는 입장을 표명하면서 작년말 정치권을 뜨겁게 달궜던 'UAE 특사논란'이 일단락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아부다비 대통령궁에서 모하메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아부다비 왕세제와 정상회담을 하고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 특사 파견과 관련해 잡음이 있었으나 두 나라 사이가 조금도 훼손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언급한 '잡음'은 일단 임 실장이 지난해 12월 UAE에 특사로 파견됐다가 돌아오는 과정에서 일었던 각종 의혹과 이를 두고 벌어진 정치권의 신경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양국 간에 국방협력 문제에 대한 갈등이 존재했음을 우회적으로 확인한 측면도 있어 보인다는 분석이다.

청와대는 당시 임 실장의 UAE 방문 목적이 파병 장병 격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임 실장이 UAE 왕세제를 만난 자리에 UAE 원자력공사 이사회 의장인 칼둔 칼리파 무바라크 아부다비 행정청장이 배석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억측과 소문이 이어졌다.

야권에서는 즉각 이명박 정부 시절 UAE로부터 수주한 원전 사업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차질을 빚게 됐고 임 실장이 이를 수습하려고 UAE를 방문한 것이라고 공격했다.

청와대는 야권의 공세가 나올 때마다 해명했지만 그 내용이 '양국 파트너십 강화', '박근혜 정부 들어 소원해진 관계의 복원' 등으로 조금씩 바뀌었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 당시 국방부 장관을 지낸 김태영 전 장관이 원전 수주를 위해 유사시 군사개입 조항이 담긴 협약을 체결했다고 공개하면서 논란을 둘러싼 '잡음'은 더욱 커졌다.

급기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정의당 김종대 의원은 이명박 정부 때인 2009년 아랍에미리트에 원전을 수주하면서 군사약속인 '상호방위협정'을 맺었으나, 도저히 수용할 수 없는 내용이어서 양국이 서명하지 못하고 있다가 2013년 박근혜 정부가 협정보다 낮은 수준의 '비밀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최근에 갈등이 벌어진 것은 이 양해각서의 이행 여부를 두고 양국 간에 상당한 신뢰에 손상이 갔고 그 결과 갈등이 발생해서 수습하기 위해 임 실장이 특사로 아랍에미리트를 방문하게 됐다"고 주장했다.

도무지 사그라들 것 같지 않았던 논란이 새로운 국면을 맞기 시작한 것은 올 1월 초 칼둔 행정청장이 방한하면서다.

칼둔 청장이 청와대를 찾아 문 대통령을 예방한 데 이어 UAE를 방문했던 임 실장과 재회해 오찬을 포함해 200분 동안 이야기하면서 군사협력 문제와 같은 갈등의 소지가 있었던 이슈들을 '봉합'했다.

애초 올해 연말에 바라카 원전 1호기 완공 시기에 맞춰 UAE에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던 문 대통령은 방문 시기를 앞당겨 관계 회복의 의지를 보였다.

'특사논란'의 장본인이었던 임 실장도 문 대통령의 아부다비 방문 하루 전 현지에 도착해 정상회담 의제를 조율하고 회담에 직접 배석하면서 각별하게 공을 들였다.

문 대통령은 모하메드 왕세제와의 정상회담에서 "오히려 국민 사이에서 한국과 UAE의 국방협력 분야에 대한 공감을 얻게 됐고 국방협력을 더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말하고 양국 간 굳건한 동반자 관계를 재확인했다.

이로써 '특사 논란'과 국방협력을 둘러싼 양국간 갈등은 큰 틀에서 해소됐지만 아직 불씨는 남아있다는 지적도 있다.

양국 정상의 굵직한 합의에는 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디테일'은 여전히 베일 속에 가려져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신설되는 외교·안보 2+2 차관급 협의체에서 세부적인 협의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외교부 관계자는 아부다비 현지에서 기자들을 만나 군사협력 문제와 관련해 "국방협력이 양국 관계의 핵심 요소임을 확인했고 계속 협력을 증진해 가자고 했다"면서도 "(양국 정상이) 큰 틀에서의 의견을 교환했다고만 들었다"고 말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군사협정 개정 작업이 끝났나'라는 기자들의 물음에 "답변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닌 것 같다"며 즉답을 피해 '디테일'에 논란이 될 소지가 있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을 남겼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