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전폭적인 신임을 받는 '실세' 국무장관의 등장으로 한미 외교당국 간의 공조가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견해가 있는가 하면, 미국 외교안보 라인에서 '다른 목소리'가 사라지게 된 상황이 우려된다는 견해도 있었다.
아산정책연구원의 최강 부원장은 14일 "폼페이오 국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서로 교감하면서 일할 수 있는 사람이기에 우리와도 괜찮은 궁합이 될 것 같다"며 "폼페이오의 부임으로 국무부가 제대로 돌아가면 우리 외교부와도 긴밀하게 협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 부원장은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과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로 이어지는 라인업과 비슷한 구도로 갈 것 같다"며 "당시 북핵 문제가 부시 대통령의 어젠다(의제)가 되고, (대통령 신임을 받는) 라이스 국무장관이 조종을 하는 가운데, 힐 차관보가 전면에 나서서 협상을 했었다"고 말했다.
국립외교원 신범철 교수는 국무장관 교체에도 "북한과의 대화 과정에서는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다"며 "북미정상회담의 경우 트럼프 대통령이 '빅딜론자'였다면 틸러슨은 오히려 '신중론자'였는데, 트럼프에 충성하는 폼페이오 국장이 국무장관이 되면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대로 남북·북미가 가는데 지장이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신 교수는 대북 강경파로 알려진 폼페이오 국장의 성향과 관련, "만약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핵 문제가 잘 풀리지 않을 경우 미국은 더욱 강력한 대북 압박과 군사옵션을 꺼내들 수 있는 만큼 우리로서는 반드시 북한이 진정한 의미의 비핵화를 하도록 유도해야 할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대북정책과 관련한 미국의 의사결정 구조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아니오'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 자리를 떠나게 된 것이 우려 요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최대한도의 압박'을 강조하는 상황에서도 꾸준히 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던 틸러슨을 대체할 사람이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었다.
한동대 박원곤 교수는 "틸러슨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과 다른 의견을 밝혔다가 질책도 받았지만 그나마 그가 있어서 미국 내부에서 다양한 토론이 이뤄질 수 있었다"며 "폼페이오 국장은 트럼프의 노선을 100% 수용해서 따라가는 사람이기에 앞으로 트럼프가 모든 것을 결정하는 성향이 강화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정상회담에서 북한의 ICBM(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 중단을 받아내고 사실상 북핵 보유를 인정하게 된다면 우리에게 최악인데, 만에 하나 그런 결정을 내릴 때 미국 내부에 안된다고 할 사람이 없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