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총선과 박근혜 탄핵 거치며 '4당 체제'로 재편
국민의당 분당 사태로 '新4당 체제'로 변모
지방선거 결과 따라 정치지형 다시 출렁일듯


1년 전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결정은 여의도의 정당 지형도 바꿔놓았다.
[박근혜 탄핵 1년] 정당지형 재편… 지방선거가 1차 심판대
지난해 5월 9일 치러진 이른바 '장미 대선'을 통한 정권 교체로 보수 정권은 9년 만에 막을 내렸고, 진보 정권인 문재인 정부가 들어섰다.

박 전 대통령 탄핵과 새 정부 출범을 전후로 정당 질서에도 적잖은 변화가 있었다.

무엇보다 1990년 3당 합당 이후 영호남을 기반으로 고착되는듯했던 양당 구도가 20대 총선과 탄핵 국면을 거치며 더불어민주당, 자유한국당,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4개 교섭단체 체제로 바뀌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20대 총선을 계기로 안철수 전 대표가 주도한 국민의당이, 박 전 대통령 탄핵을 고리로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비박'(비박근혜)계가 창당한 바른정당이 각각 생겨났다.

박 전 대통령 탄핵을 기점으로 지난 1년간 이 같은 4당 체제는 이제 민주당, 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등 신(新) 4당 체제로 변모했다.

이는 탄핵보다는 '6·13 지방선거'와 맞물린 측면이 크다.

일단 박 전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한국당을 탈당했던 김무성 의원 등 다수 중진이 바른정당에서 한국당으로 복귀하며 한때 당 존립까지 위태로웠던 한국당이 다시 원내 2당의 지위를 다졌다.

또 지난 연말부터 정국을 뒤흔든 안철수발(發) 정계개편의 여파로 안 전 대표의 국민의당과 유승민 대표가 이끄는 바른정당 잔류파는 바른미래당을 창당했고, 이에 반발한 호남 중진 중심의 국민의당 '비안'(비안철수)계는 민주평화당을 창당하며 현재의 지형으로 변화했다.

정치적 변곡점을 거칠 때마다 이합집산을 거듭해온 한국 정당사의 속성을 참작하더라도 원내 지형을 크게 뒤바꾼 거침없는 정계개편이 1년도 지나지 않아 연이어 벌어지는 상황은 이례적이다.

탄핵 정국을 거치며 형성된 정치지형의 취약성과 가변성을 동시에 단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인 셈이다.

정치권 안팎에선 오는 6월 13일 예정된 제7대 지방선거에서 새로 바뀐 정당 지형이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를 것이란 분석을 내놓는다.

탄핵 이후 치러지는 첫 전국단위 선거인 이번 지방선거는 여야 모두 물러설 수 없는 승부처다.

승리하는 쪽이 정국의 주도권을 쥐게 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여당 입장에서는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을 든든하게 뒷받침하기 위해, 야당은 정부·여당에 대한 견제, 그리고 부활 또는 생존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승리가 절실한 상황이다.

전통적으로 풀뿌리 권력을 일괄 교체하는 지방선거는 어떤 전국단위 선거보다 바닥 민심의 바람을 가늠할 수 있는 풍향계로 평가되지만, 이번 선거의 정치적 함의는 한층 복잡다단하다.

게다가 선거를 100일도 채 남겨놓지 않은 시점에서 안희정 전 충남지사를 시작으로 정치권으로 옮겨붙은 거센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바람에다 급속한 해빙 무드의 남북 관계 변수까지 겹쳐 정국 기상도는 그야말로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형국이다.

17개 광역 자치단체장 기준 최소 9석 이상 여유 있는 승리를 기대해 오다 '안희정 파문'이라는 돌발 악재에 직면한 민주당은 물론이고 이번 지방선거를 기점으로 보수층 결집을 내심 노린 한국당, 당의 존폐를 걸고 첫 시험대에 오르는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모두에 있어 이번 선거는 예상을 뛰어넘는 고차방정식으로 변했다.

이 때문에 6월 지방선거 결과에 따라 정국은 다시 한 번 큰 격랑에 휘말릴 가능성이 크다.

집권 초 문재인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을 기반으로 승승장구해 온 민주당으로서는 안 전 지사 성폭행 의혹이라는 예상 밖의 돌발 악재를 돌파해내지 못할 경우 자칫 집권 2년 차의 안정적 개혁 추진을 위한 동력 확보에 실패하며 국정운영 과정에서 고전을 면치 못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한국당 역시 영남권 수성을 넘어서는 의미 있는 성과를 내지 못하면 기존 홍준표 체제에 대한 누적된 불만이 한꺼번에 터져 나오면서 거센 내홍에 휩싸일 공산이 크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은 만약 독자적인 경쟁력을 입증해내지 못한다면 추가 정계개편의 흐름에 휘말려 존립 자체가 위태로울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한 정치 전문가는 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번 지방선거는 달라진 정당 지형을 시험하는 1차 평가 무대인 동시에 또 다른 변화를 예고하는 일종의 촉매제가 될 수도 있다"며 "탄핵 이후 1차 정계개편이 중도를 겨냥한 야당의 재편이었지만, 앞으로는 여소야대 정국에서 한계를 절감한 여당까지 포함해 정국 전체가 출렁이는 더 큰 개편이 도래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