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머니로드쇼] "보장성 보험료 지출은 月소득의 10% 이내로 줄이세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00세 시대 준비 어떻게 할까
"막연하게 저축하기보다
은퇴기간·지출 계산부터"
은퇴 시점 기준으로 현금흐름
체크리스트 만들면 도움
"막연하게 저축하기보다
은퇴기간·지출 계산부터"
은퇴 시점 기준으로 현금흐름
체크리스트 만들면 도움
100세 시대를 맞아 일찌감치 노후 준비를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연금 및 미래설계 전문가들은 하루라도 빨리 예상 은퇴기간을 계산해보고 필요한 자금을 준비하는 게 좋다고 입을 모은다. 노후 준비는 막연히 특정 금액만큼을 모으는 게 아니라 은퇴 이후 줄어들 수입과 지출을 계산하는 게 기본이다. 은퇴자금은 은퇴 전 소득의 70~80%가 되도록 준비하는 게 좋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고정 생활비나 노후 의료비, 경조사비 등을 감안한다면 은퇴 후에도 소비는 계속되기 때문이다.
필요자금을 계산했다면 구체적으로 노후를 준비할 방안을 고민하는 게 순서다. 하지만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몰라하는 경우가 많다. 연금 및 미래설계 전문가들이 오는 14일부터 29일까지 전국 7개 도시에서 열리는 ‘2018 한경 머니로드쇼’에서 제안할 재무설계 노하우를 미리 들어봤다.
◆보장성 보험료 지출 최소화부터
김대근 NH농협은행 자산관리(WM)지원팀 선임연구원은 미래 자산관리전략 첫 단계로 과도한 보험지출을 피하라고 당부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보장성 보험료 지출은 월소득의 10% 이내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자산으로 쌓이지 않는 보장성 보험료를 최소화하는 게 노후 준비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건강보험은 가족 통합실비보험으로 두고 가장 사망 대비를 위한 정기보험에 가입해 놓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또 은퇴 후 노후자금으로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부터 꼼꼼히 챙기라고 조언했다.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 10년 이상일 경우 기본연금액 50%와 부양가족 연금액(배우자 월 2만656원, 자녀·부모 월 1만3768원)의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다. 가입기간 20년이 넘으면 기본연금액 100%와 부양가족 연금액(10년 이상과 동일)이 지급된다. 국민연금의 수급 개시 연령은 출생연도에 따라 다르다. 1952년 이전 출생자는 60세,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 등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해당되는 수급 개시 연령을 확인한 뒤 수령연령을 최대 5년 앞당길 수 있는 ‘조기노령연금’과 최대 5년 늦출 수 있는 ‘연기연금’ 제도 활용을 고민해보면 자산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면서 근로 및 임대 소득이 없다면 노령연금 수령 시기를 최대 5년까지 앞당길 수 있다.
반면 수급 개시 연령이 됐을 때 최대 5년 뒤까지 연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지급 연기도 신청할 수 있다. 연기한 연금을 다시 받을 때는 지급 연기를 신청한 금액에 대해 연기된 1년당 7.2%(월 0.6%)의 연금액을 더 지급한다.
연금저축과 연금보험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본인 상황에 적합한 것을 고르라는 추천도 뒤따랐다. 연금저축은 5년 이상 의무 납입해야 하고 55세 이후 수령할 수 있다. 연금저축은 현존하는 절세상품 중 세금환급효과가 가장 높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연금보험은 의무 납입기간 없이 45세 이후부터 수령 가능하며, 10년 이상 유지 시 세금이 없는 게 특징이다. 아울러 적립식투자와 분산투자, 간접투자를 통한 자산 리스크 관리는 필수라고 강조했다.
◆은퇴 후 필수 생활비는 연금으로
장경영 한국경제신문 생애설계센터장은 노후 대비 자산관리 원칙으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은퇴 후 필수 생활비는 연금으로 준비하라는 게 첫 번째 조언이다. 연금은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해서다. 이어 의료비는 보험 등 금융상품으로 준비하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나머지 자산은 단기, 장기로 나눠 운용하는 방안을 써보라고 권유했다. 단기는 은퇴 후 10년 이내 사용할 추가 생활비를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수익형 부동산, 펀드, 고금리 채권 등을 활용해볼 수 있다. 장 센터장은 “나머지 자산으로 차익형 부동산, 주식 장기투자 등을 운용한다면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데 목표의식을 두고 소득 다변화 전략을 마련하라는 조언도 나왔다. 민만기 교보생명 재무설계센터장은 “사업소득, 임대소득, 예금이자 소득, 배당소득, 연금 소득 등 여러 분야에 투자하면 리스크가 분산돼 효율적인 자산관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최재산 신한은행 미래설계센터 팀장은 “은퇴 시점을 기준으로 현금흐름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보면 노후 준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흰 종이에 ‘연금’과 ‘투자’를 먼저 구분한 다음 연금 부문에는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등을 적는다. 종류별로 본인이 보유한 상품을 적고, 예상 수령액과 특징을 기입하면 된다. 투자 부문에는 정기예금, 채권, ELS 등 상품과 상가나 아파트 등 부동산 예상 수익 등을 쓰는 식이다.
이렇게 하면 노후에 활용할 수 있는 최소 자산 규모를 예상해볼 수 있다는 얘기다. 최 팀장은 “현금흐름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연금 또는 투자를 더 늘릴지 말지 고민해보라”고 조언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
필요자금을 계산했다면 구체적으로 노후를 준비할 방안을 고민하는 게 순서다. 하지만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몰라하는 경우가 많다. 연금 및 미래설계 전문가들이 오는 14일부터 29일까지 전국 7개 도시에서 열리는 ‘2018 한경 머니로드쇼’에서 제안할 재무설계 노하우를 미리 들어봤다.
◆보장성 보험료 지출 최소화부터
김대근 NH농협은행 자산관리(WM)지원팀 선임연구원은 미래 자산관리전략 첫 단계로 과도한 보험지출을 피하라고 당부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보장성 보험료 지출은 월소득의 10% 이내로 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자산으로 쌓이지 않는 보장성 보험료를 최소화하는 게 노후 준비에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건강보험은 가족 통합실비보험으로 두고 가장 사망 대비를 위한 정기보험에 가입해 놓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는 설명이다.
또 은퇴 후 노후자금으로 국민연금 같은 공적연금부터 꼼꼼히 챙기라고 조언했다.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 10년 이상일 경우 기본연금액 50%와 부양가족 연금액(배우자 월 2만656원, 자녀·부모 월 1만3768원)의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다. 가입기간 20년이 넘으면 기본연금액 100%와 부양가족 연금액(10년 이상과 동일)이 지급된다. 국민연금의 수급 개시 연령은 출생연도에 따라 다르다. 1952년 이전 출생자는 60세, 1969년 이후 출생자는 65세 등이다.
김 선임연구원은 “해당되는 수급 개시 연령을 확인한 뒤 수령연령을 최대 5년 앞당길 수 있는 ‘조기노령연금’과 최대 5년 늦출 수 있는 ‘연기연금’ 제도 활용을 고민해보면 자산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면서 근로 및 임대 소득이 없다면 노령연금 수령 시기를 최대 5년까지 앞당길 수 있다.
반면 수급 개시 연령이 됐을 때 최대 5년 뒤까지 연금액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한 지급 연기도 신청할 수 있다. 연기한 연금을 다시 받을 때는 지급 연기를 신청한 금액에 대해 연기된 1년당 7.2%(월 0.6%)의 연금액을 더 지급한다.
연금저축과 연금보험 각각의 특성을 이해하고 본인 상황에 적합한 것을 고르라는 추천도 뒤따랐다. 연금저축은 5년 이상 의무 납입해야 하고 55세 이후 수령할 수 있다. 연금저축은 현존하는 절세상품 중 세금환급효과가 가장 높다는 게 장점으로 꼽힌다. 연금보험은 의무 납입기간 없이 45세 이후부터 수령 가능하며, 10년 이상 유지 시 세금이 없는 게 특징이다. 아울러 적립식투자와 분산투자, 간접투자를 통한 자산 리스크 관리는 필수라고 강조했다.
◆은퇴 후 필수 생활비는 연금으로
장경영 한국경제신문 생애설계센터장은 노후 대비 자산관리 원칙으로 크게 세 가지를 제시했다. 은퇴 후 필수 생활비는 연금으로 준비하라는 게 첫 번째 조언이다. 연금은 안정적인 현금 흐름이 가능하다는 점을 감안해서다. 이어 의료비는 보험 등 금융상품으로 준비하는 게 좋다고 덧붙였다. 나머지 자산은 단기, 장기로 나눠 운용하는 방안을 써보라고 권유했다. 단기는 은퇴 후 10년 이내 사용할 추가 생활비를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수익형 부동산, 펀드, 고금리 채권 등을 활용해볼 수 있다. 장 센터장은 “나머지 자산으로 차익형 부동산, 주식 장기투자 등을 운용한다면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는 데 목표의식을 두고 소득 다변화 전략을 마련하라는 조언도 나왔다. 민만기 교보생명 재무설계센터장은 “사업소득, 임대소득, 예금이자 소득, 배당소득, 연금 소득 등 여러 분야에 투자하면 리스크가 분산돼 효율적인 자산관리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최재산 신한은행 미래설계센터 팀장은 “은퇴 시점을 기준으로 현금흐름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보면 노후 준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흰 종이에 ‘연금’과 ‘투자’를 먼저 구분한 다음 연금 부문에는 공적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주택연금 등을 적는다. 종류별로 본인이 보유한 상품을 적고, 예상 수령액과 특징을 기입하면 된다. 투자 부문에는 정기예금, 채권, ELS 등 상품과 상가나 아파트 등 부동산 예상 수익 등을 쓰는 식이다.
이렇게 하면 노후에 활용할 수 있는 최소 자산 규모를 예상해볼 수 있다는 얘기다. 최 팀장은 “현금흐름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연금 또는 투자를 더 늘릴지 말지 고민해보라”고 조언했다.
정지은 기자 je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