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인들 뿔났다… "대미 수출길 다 막히는 동안 정부는 뭐했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국 통상압박 '후폭풍'
정부 성토장 된 철강협회 정기총회
미국 수입규제안은 예고된 재앙인데
정부, 대응 미적대다 골든타임 놓쳐
'53% 관세폭탄' 현실화 땐 수출 끝장
권오준 회장 "협회 중심으로 적극 대처"
정부 성토장 된 철강협회 정기총회
미국 수입규제안은 예고된 재앙인데
정부, 대응 미적대다 골든타임 놓쳐
'53% 관세폭탄' 현실화 땐 수출 끝장
권오준 회장 "협회 중심으로 적극 대처"
“철강업계가 절체절명의 위기에 놓인 상황에서 전문성이 없는 ‘낙하산 공무원’이 철강협회 상근부회장직을 맡는 관행은 더 이상 용납할 수가 없습니다.”
21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한국철강협회 정기총회에서 정부를 향한 날선 비판이 쏟아졌다. 미국 정부의 초강력 통상압박으로 업계의 수출길이 완전히 차단될 위기에 놓이자 우리 정부가 미국과의 통상협상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온 탓이라고 여긴 업계가 그동안 쌓인 불만을 터뜨리기 시작한 것이다.
뿔난 CEO들
이 여파로 이날로 임기가 만료된 협회 상근부회장 자리는 후임을 정하지 못한 채 이례적으로 공석 상태가 됐다. 3시간 가까이 이어진 총회에 참석한 철강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은 “더 이상 ‘낙하산’은 안 된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총회에는 권오준 철강협회장(포스코 회장) 외에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이순형 세아제강 회장, 김창수 동부제철 사장, 손봉락 TCC동양 회장,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 박훈 휴스틸 사장 등 회원사 대표 20여 명이 참석했다.
실제 A대표는 “협회 상근부회장 자리는 업계의 이익을 지키고 대변하는 자리이지 관련성 없는 공무원이 월급 받으러 오는 자리가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B대표는 “그동안 정부가 미국의 통상압력을 제대로 막아줬으면 이런 얘기가 나왔겠느냐”며 “정부에 대한 불신이 그만큼 깊고 커졌다”고 전했다. 또 다른 기업의 C대표는 “2016년 미국 상무부가 포스코 열연강판에 대해 불합리한 조항을 내세우며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때부터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했어야 했다”며 “작금의 사태는 예고된 재앙”이라고 지적했다.
1993년 이후 지난 25년간 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은 철강업과 무관한 정부 공직자의 몫이었다. 국제특허연수원장, 한국전력거래소 이사장,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원장 등 주로 정부 및 공공기관 고위직을 역임한 인물들이 거쳐갔다.
골든타임 놓친 정부
철강업계 CEO들은 또 이날 총회에서 지난 설 연휴 기간 발표된 미국 정부의 무역확장법 232조 규제안에 대한 걱정과 우려를 강하게 나타냈다. 지난 51년간 국내 공장으로만 달러를 벌어들인 강관(파이프)업체 휴스틸이 수천억원 규모의 국내 투자 계획을 철회할 수밖에 없을 만큼 상황은 녹록지 않다. 이날 권오준 회장이 “무역확장법 232조 등 통상문제와 관련해서 통상 담당 임원급 협의체를 활성화하는 등 협회가 중심이 돼 적극 대처하겠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휴스틸을 포함한 국내 업체들은 53%에 달하는 관세폭탄 등 미국 정부가 마련한 수입제재안이 현실화할 경우 현지 공장 신설 등 고육지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해외 공장이 전무한 휴스틸은 회사 전체 매출 가운데 미국 수출 비중이 40%에 달한다. 정상적 상황이라면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대규모 인프라 확대 정책을 펼치면서 송유관 등 강관을 생산하는 업체들이 특수를 누려야 할 시기지만 올해 실적 전망은 암담하기만 하다.
휴스틸은 지난해 매출 6905억원, 영업이익 21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89.7%, 1519%나 실적이 개선됐다. 하지만 박 사장은 “향후 한국산 제품의 수입이 어려워진다고 판단한 현지 유통사들의 ‘사재기’로 인한 반짝 실적일 뿐 시장상황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어렵다”고 강조했다.
업계 CEO들은 이날 “지금이라도 청와대와 정부가 백악관과의 직접 소통에 나서 통상압박을 풀어야 한다”고 촉구한 뒤 자리를 마무리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
21일 서울 대치동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한국철강협회 정기총회에서 정부를 향한 날선 비판이 쏟아졌다. 미국 정부의 초강력 통상압박으로 업계의 수출길이 완전히 차단될 위기에 놓이자 우리 정부가 미국과의 통상협상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온 탓이라고 여긴 업계가 그동안 쌓인 불만을 터뜨리기 시작한 것이다.
뿔난 CEO들
이 여파로 이날로 임기가 만료된 협회 상근부회장 자리는 후임을 정하지 못한 채 이례적으로 공석 상태가 됐다. 3시간 가까이 이어진 총회에 참석한 철강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은 “더 이상 ‘낙하산’은 안 된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총회에는 권오준 철강협회장(포스코 회장) 외에 우유철 현대제철 부회장, 장세욱 동국제강 부회장, 이순형 세아제강 회장, 김창수 동부제철 사장, 손봉락 TCC동양 회장, 홍영철 고려제강 회장, 박훈 휴스틸 사장 등 회원사 대표 20여 명이 참석했다.
실제 A대표는 “협회 상근부회장 자리는 업계의 이익을 지키고 대변하는 자리이지 관련성 없는 공무원이 월급 받으러 오는 자리가 아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B대표는 “그동안 정부가 미국의 통상압력을 제대로 막아줬으면 이런 얘기가 나왔겠느냐”며 “정부에 대한 불신이 그만큼 깊고 커졌다”고 전했다. 또 다른 기업의 C대표는 “2016년 미국 상무부가 포스코 열연강판에 대해 불합리한 조항을 내세우며 반덤핑 관세를 부과할 때부터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했어야 했다”며 “작금의 사태는 예고된 재앙”이라고 지적했다.
1993년 이후 지난 25년간 철강협회 상근부회장은 철강업과 무관한 정부 공직자의 몫이었다. 국제특허연수원장, 한국전력거래소 이사장,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 원장 등 주로 정부 및 공공기관 고위직을 역임한 인물들이 거쳐갔다.
골든타임 놓친 정부
철강업계 CEO들은 또 이날 총회에서 지난 설 연휴 기간 발표된 미국 정부의 무역확장법 232조 규제안에 대한 걱정과 우려를 강하게 나타냈다. 지난 51년간 국내 공장으로만 달러를 벌어들인 강관(파이프)업체 휴스틸이 수천억원 규모의 국내 투자 계획을 철회할 수밖에 없을 만큼 상황은 녹록지 않다. 이날 권오준 회장이 “무역확장법 232조 등 통상문제와 관련해서 통상 담당 임원급 협의체를 활성화하는 등 협회가 중심이 돼 적극 대처하겠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휴스틸을 포함한 국내 업체들은 53%에 달하는 관세폭탄 등 미국 정부가 마련한 수입제재안이 현실화할 경우 현지 공장 신설 등 고육지책을 마련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해외 공장이 전무한 휴스틸은 회사 전체 매출 가운데 미국 수출 비중이 40%에 달한다. 정상적 상황이라면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대규모 인프라 확대 정책을 펼치면서 송유관 등 강관을 생산하는 업체들이 특수를 누려야 할 시기지만 올해 실적 전망은 암담하기만 하다.
휴스틸은 지난해 매출 6905억원, 영업이익 218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89.7%, 1519%나 실적이 개선됐다. 하지만 박 사장은 “향후 한국산 제품의 수입이 어려워진다고 판단한 현지 유통사들의 ‘사재기’로 인한 반짝 실적일 뿐 시장상황은 알려진 것보다 훨씬 어렵다”고 강조했다.
업계 CEO들은 이날 “지금이라도 청와대와 정부가 백악관과의 직접 소통에 나서 통상압박을 풀어야 한다”고 촉구한 뒤 자리를 마무리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