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가 한국GM 국내 철수설과 관련해 창원공장에 미칠 파장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GM의 유일한 경차 전용기지로 스파크와 라보, 다마스를 생산하는 창원공장은 사내 협력업체를 포함해 2600여 명, 사외 하도급을 포함하면 약 1만 명이 일한다. 창원에 있는 1차 협력업체 50여 곳과 부산 등 연관업체 고용인원까지 합하면 최소 2만여 명에 달해 GM의 결정에 따라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클 전망이다.

도는 20일 노사민정협의회를 열어 노동계와 경영계, 전문가 등과 함께 한국GM 사태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한경호 위원장(경남지사 권한대행)은 “아직 한국GM 창원공장에 대한 GM 본사와 정부 입장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권에서 대출심사를 강화한다든지 하면 협력업체가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며 “경남지역 경제와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파악해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남발전연구원은 “한국GM은 지난해 약 52만 대의 자동차를 생산했는데 2013년(78만 대)과 비교해 33.6% 감소하는 등 판매 부진과 실적 악화가 쌓여 왔다”며 “군산공장은 지난해 월평균 가동일이 7일 정도에 머물렀지만 창원공장은 20일 이상 가동해 상황이 좀 나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연구원은 “경영 악화가 계속되고 있어 특별한 관심과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경상남도는 경제통상국장을 총괄반장으로 ‘한국GM 창원공장 관련 대응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응방안 마련에 나섰다. 도 관계자는 “조선업 구조조정 한파가 가시기도 전에 한국GM발 고용 불안이 지역을 덮치고 있다”며 “정부 및 채권은행단과도 협력체계를 구축해 대응 전략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김해연 기자 hay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