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최근 3년간 통계 분석…연휴 전날 밤 졸음운전 몰려
가족 단위 이동 증가…차량 탑승한 어린이 사상자도 늘어
설 연휴 전날 교통사고 최다… 조기 귀성객 주의해야
설 연휴 기간 교통사고와 그에 따른 사상자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날은 연휴 전날로 나타났다.

경찰청은 2015∼2017년 설 연휴 기간 교통사고 분석 결과 연휴 전날에 평균적으로 사고 678.3건에 사상자 1천20.3명(사망 14명·부상 1천6.3명)이 발생, 사고 위험이 가장 컸다고 13일 밝혔다.

ADVERTISEMENT

이어 설 전날이 사고 418.7건에 사상자 737명(사망 10명·부상 727명), 설 다음 날이 사고 367.3건에 사상자 700.3명(사망 8명·부상 692.3명), 설 당일 사고 354.7건에 사상자 783.3명(사망 5.3명·부상 778명) 순이었다.

연휴 전날은 일찍 퇴근한 직장인 등이 본격적으로 귀성길에 올라 차량이 도로로 몰리는 날이어서 사고가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고속도로 교통사고는 설 당일이 15.3건에 사상자 44명(사망 0.3명·부상 43.7명)으로 가장 많았고, 연휴 전날이 14.7건에 35.7명(사망 1명·부상 34.7명)으로 사고 건수로는 2위를 기록했다.

ADVERTISEMENT

고속도로 노선별로는 경부·서울외곽·중부고속도로에서 상대적으로 사고가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설 연휴 졸음운전 교통사고는 하루 평균 5.4건에 사상자 10.9명(사망 0.2명·부상 10.7명)으로 평소 주말 평균 7.3건·16.1명(사망 0.3명·부상 15.8명)보다는 적었다.

그러나 일찍 귀성에 나선 차량이 많은 연휴 전날 오후 8시∼자정 발생한 졸음운전 사고(7건)가 당일 전체 졸음운전 사고(22건)의 31.8%에 달할 정도로 많아 조기 귀성차량 운전자는 주의해야 한다.

ADVERTISEMENT

어린이 사고 역시 평소 주말보다 사고 건수와 사상자가 적었지만, 가족 단위 이동 증가로 '차량 탑승 중 사상자'가 40.5명에 달해 주말 평균(36.1명)보다 12.2%(4.4명) 증가했다.

경찰 관계자는 "졸음운전 취약시간대에 사이렌을 울리는 '알람 순찰'을 하고, 주요 고속도로 노선에 암행순찰차를 집중 투입해 얌체운전 등 법규 위반행위를 중점 단속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