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경기장 인근에 산불진화 헬기 13대 전진배치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산림청, 동계올림픽 대비 산불방지 종합대책 시행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산불피해를 막기 위해 경기장 인근에 산림청 대형헬기 1대와 진화헬기 12대가 전진 배치된다.
산림청이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동해안 지역에서 건조기후가 지속함에 따라 25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봄철 산불조심 기간'으로 정하고 본격적인 산불방지 체제에 돌입한다.
동계올림픽 권역인 강원도 평창·강릉·정선·원주·횡성 등 5개 시·군의 산불감시원과 진화대를 기존 350명에서 502명(감시원 218명, 진화대 284명)으로 늘리고, 중앙과 지역 합동 기동순찰반을 주야로 운영해 불법소각과 산림 내 흡연 등 단속 활동을 강화한다.
강릉·평창은 자활사업단 등으로 구성된 산불예방지원대(4팀)를 시범 운영한다.
산불예방지원대는 독립가옥, 산림 인접 농경지 등 산불취약지역의 인화물질을 사전에 제거해 소각 산불을 원천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향후 일자리 사업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동계올림픽 권역의 산불대응을 위해 산림청 9대와 강원도 임차헬기 3대 등 산불진화용 헬기 12대를 운영하고, 평창에는 산림청 대형헬기 1대를 전진 배치한다.
겨울철 헬기 담수지를 확보하기 위해 저수지 얼음 깨기 작업을 하고 결빙 방지시설을 설치하며, 중·소하천 13곳에 긴급 담수지를 마련한다.
올해 산불방지 대책으로는 산불감시원,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등 전국에 산불방지 인력 2만2천명을 운영하고, 산불감시원의 위치정보(GPS) 이력을 분석해 산불취약지의 불법행위를 단속한다.
정보기술(IT)이 적용된 산불 상황 관제시스템을 활용해 신고부터 진화까지 현장 영상, 진화자원 투입 등 상황을 중앙산불상황실 및 유관기관과 공유한다.
현재 조망형 산불감시 카메라 1천63대와 밀착형 385대를 운영 중이며, 124곳에 산불소화시설 설치를 마치고 올해 17곳에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산불 발생 때 긴급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상황을 신속하게 언론에 제공한다.
야간·도심·대형 산불에 대비해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를 광역단위로 운영해 지상 진화 역량을 높이고 산불피해를 최소화한다.
초동진화를 위해 산림 헬기 45대, 지자체 임차 64대를 상시 운영하고, 유관기관 헬기(소방 28대, 군 16대)의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무인항공기(드론)를 산불감시, 진화, 인명수색 등 산불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산불방지 위반사항 신고포상금 제도'를 운영해 국민의 자율 감시활동 참여를 높인다.
신고포상금은 산불가해자 신고 때 징역형은 최대 300만원, 벌금형은 최고 50만원이며, 위반사항 신고포상금은 최고 10만원(과태료의 10분의 1)이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대응과 신속한 진화로 산불 발생을 줄이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올해도 산불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산림청이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동해안 지역에서 건조기후가 지속함에 따라 25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봄철 산불조심 기간'으로 정하고 본격적인 산불방지 체제에 돌입한다.
동계올림픽 권역인 강원도 평창·강릉·정선·원주·횡성 등 5개 시·군의 산불감시원과 진화대를 기존 350명에서 502명(감시원 218명, 진화대 284명)으로 늘리고, 중앙과 지역 합동 기동순찰반을 주야로 운영해 불법소각과 산림 내 흡연 등 단속 활동을 강화한다.
강릉·평창은 자활사업단 등으로 구성된 산불예방지원대(4팀)를 시범 운영한다.
산불예방지원대는 독립가옥, 산림 인접 농경지 등 산불취약지역의 인화물질을 사전에 제거해 소각 산불을 원천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향후 일자리 사업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동계올림픽 권역의 산불대응을 위해 산림청 9대와 강원도 임차헬기 3대 등 산불진화용 헬기 12대를 운영하고, 평창에는 산림청 대형헬기 1대를 전진 배치한다.
겨울철 헬기 담수지를 확보하기 위해 저수지 얼음 깨기 작업을 하고 결빙 방지시설을 설치하며, 중·소하천 13곳에 긴급 담수지를 마련한다.
올해 산불방지 대책으로는 산불감시원,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 등 전국에 산불방지 인력 2만2천명을 운영하고, 산불감시원의 위치정보(GPS) 이력을 분석해 산불취약지의 불법행위를 단속한다.
정보기술(IT)이 적용된 산불 상황 관제시스템을 활용해 신고부터 진화까지 현장 영상, 진화자원 투입 등 상황을 중앙산불상황실 및 유관기관과 공유한다.
현재 조망형 산불감시 카메라 1천63대와 밀착형 385대를 운영 중이며, 124곳에 산불소화시설 설치를 마치고 올해 17곳에 추가로 설치할 예정이다.
산불 발생 때 긴급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상황을 신속하게 언론에 제공한다.
야간·도심·대형 산불에 대비해 산불재난 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를 광역단위로 운영해 지상 진화 역량을 높이고 산불피해를 최소화한다.
초동진화를 위해 산림 헬기 45대, 지자체 임차 64대를 상시 운영하고, 유관기관 헬기(소방 28대, 군 16대)의 지원체계를 강화한다.
무인항공기(드론)를 산불감시, 진화, 인명수색 등 산불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산불방지 위반사항 신고포상금 제도'를 운영해 국민의 자율 감시활동 참여를 높인다.
신고포상금은 산불가해자 신고 때 징역형은 최대 300만원, 벌금형은 최고 50만원이며, 위반사항 신고포상금은 최고 10만원(과태료의 10분의 1)이다.
김재현 산림청장은 "효과적이고 과학적인 대응과 신속한 진화로 산불 발생을 줄이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며 "올해도 산불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