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오롱제약은 편의점 CU와 함께 파우치형 스포츠 음료 '리얼아미노워터 레드비트 플러스'를 선보인다고 4일 밝혔다. 제품 한 팩에 아미노산 2000mg, L-글루타민 1250mg, 아르기닌 500mg, BCAA 250mg을 함유했다. 운동 전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휴대성과 흡수력을 고려한 파우치 형태로 제작했다는 게 업체 측의 설명이다.코오롱제약은 신제품 출시를 맞아 스포츠뉴트리션 모델인 국가대표 축구선수 이승우와 함께 프로모션도 진행한다. 제품 판매 수익금 일부는 국내 유소년 축구클럽에 후원할 계획이다.업체 관계자는 "리얼아미노워터 레드비트 플러스는 운동 후 빠른 회복을 원하는 소비자들에게 최적화된 제품"이라며 "CU 입점으로 더 많은 소비자들이 쉽게 제품을 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국내 의료기기사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지난해 매출 10위권 업체들의 순위가 뒤바뀌면서다. 1~3위는 지난해와 변함없었지만, 진단업체 씨젠이 매출 회복세를 기록하며 2023년 6위서 올해 4위로 올라섰다. 또한 2023년 10위였던 메가젠임플란트는 한해 동안 매출이 약 40% 오르며 7위를 기록, 세 계단을 뛰어넘었다. 그러나 오상헬스케어의 매출이 4분의 1 토막이 나며 10위권 밖으로 크게 밀려나기도 했다. 미용 의료기기 제조업체 클래시스가 처음으로 매출 10위권에 등장하며 빈자리를 채웠다. '오스템' 부동의 1위...덴티움·바텍은 순위 하락 기업명 2023년 매출 2024년 매출 2024 순위 오스템임플란트 1조 2083억 1조 3155억 1 에스디바이오센서 6557억 6946억 2 삼성메디슨 5174억 5708억 3 덴티움 3932억 4078억 5 바텍 3849억 3852억 6 씨젠 3674억 4143억 4 오상헬스케어 3558억 804억 10위권 밖 아이센스 2651억 2911억 8 뷰웍스 2202억 2229억 10 메가젠임플란트 2178억 3048억 7 클래시스 1801억 2429억 9 매출 상위 10위 가운데 대부분은 임플란트·치과 장비 기업이다. 오스템임플란트 외에도 덴티움 메가젠임플란트 바텍 등 치과 재료 및 장비 업체가 4곳이나 이름을 올렸다.특히 오스템임플란트는 의료기기 업체 중 부동의 매출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여러 업체 가운데 유일하게 매출 1조를 넘겼다. 다만 성장 속도는 더뎌지고 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2023년 1조2083억원의 매출을 기록, 전년(1조 535억원) 대비 약 14.6%의 매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다만 올해는 성장률이 약 8.9%
우리 군의 차세대 공격체계 '킬체인'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킬체인은 북한 핵미사일과 생물학 무기 등 대량살상무기(WMD) 발사 징후를 우주 기술로 사전에 감지해 제거하겠다는 복합 방어체계를 말한다.방위사업청과 우주항공청, 해양경찰청은 지난 2일부터 3일간 '초소형 위성체계 상세설계 검토회의'를 열고 향후 개발 방향을 논의했다고 4일 발표했다.초소형위성체계는 한국 군이 네 번째 발사를 앞두고 있는 대형 정찰위성 '425 위성' 5기를 보완할 서브 위성군 50여 기를 말한다. 대한민국 전역과 주변 해역의 안보 위기 상황을 위성 등 우주 자산으로 신속히 포착하기 위해 추진중인 다부처 협력사업이다. K-방산 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총괄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IST 인공위성연구소,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연구소들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2030년까지 국가 예산 1조4223억원을 투입한다. 50여 기 가운데 1호기는 지난해 발사를 마쳤다.이번 부처합동 회의에선 초소형 위성체계가 요구성능을 충족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됐는지 최종 점검이 이뤄졌다. 승인된 비용 내에서 시제품을 제작하고 체계 통합과 시험 단계로 나아갈 수 있는지도 확인했다. 50여 기 위성은 합성개구레이더(SAR) 위성과 전자광학(EO) 위성으로 구분해 개발한다. SAR 위성은 마이크로파를 순차적으로 발사해 지형도를 만들거나 지표를 관측하는 레이더 시스템을 구성하는 위성이다. 밤낮이나 악천후에 관계없이 정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EO 위성은 날씨 등의 영향을 받지만 보다 선명하고 뚜렷한 이미지를 획득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