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년회견 중계] ⑪ 문 대통령 "개성공단·금강산관광 제재 독자해제 어려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남북대화 통해 북한이 비핵화 대화 나서도록 유도"
-- 신년사에서 올해를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원년'으로 삼고 싶다고 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 5·24 조치 등의 문제가 있는데 올해 안에 적극적으로 풀어나갈 생각이 있나.
▲ 5·24 조치 중에서 경제적인 교류 부분, 그리고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부분은 지금 국제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제재, 특히 유엔 안보리가 결의한 제재의 틀 속에서 판단하지 않을 수 없을 것 같다. 이것이 유엔 안보리가 결의한 제재 범위 속에 있는 것이라면 우리가 독자적으로 그 부분들을 해제하기는 어렵다고 본다.
결국, 북한과의 관계 개선은 북핵 문제 해결과 함께 가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저는 두 트랙의 대화노력이 서로 선순환 작용을 할 것으로 본다.
-- 구체적인 복안은 무엇인가.
▲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의 노력이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 주게 되고, 북핵 문제 해결에서 진도가 나가야 남북관계가 그만큼 더 발전할 수 있는 관계라고 본다.
일단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대화로도 나서도록 그렇게 유도해 내는 것이다. 그런 것이 이뤄진다면 개성공단 재개라든지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는 그 속에서 검토해나가겠다.
(계속)
/연합뉴스
-- 신년사에서 올해를 '한반도 평화의 새로운 원년'으로 삼고 싶다고 했다.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재개, 5·24 조치 등의 문제가 있는데 올해 안에 적극적으로 풀어나갈 생각이 있나.
ADVERTISEMENT
결국, 북한과의 관계 개선은 북핵 문제 해결과 함께 가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저는 두 트랙의 대화노력이 서로 선순환 작용을 할 것으로 본다.
-- 구체적인 복안은 무엇인가.
▲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대화의 노력이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 주게 되고, 북핵 문제 해결에서 진도가 나가야 남북관계가 그만큼 더 발전할 수 있는 관계라고 본다.
일단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북한과의 대화를 통해 북한이 비핵화를 위한 대화로도 나서도록 그렇게 유도해 내는 것이다. 그런 것이 이뤄진다면 개성공단 재개라든지 금강산관광 재개 문제는 그 속에서 검토해나가겠다.
(계속)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