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철강주 '3대 호재'에 함박웃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국 구조조정·인프라 투자 증가·유가 상승
포스코·아르셀로미탈 등 동반 급등
증권사 "국내 기업 상대적 저평가"
골드만삭스, 포스코 목표가
32만 → 41만원으로 상향 조정
포스코·아르셀로미탈 등 동반 급등
증권사 "국내 기업 상대적 저평가"
골드만삭스, 포스코 목표가
32만 → 41만원으로 상향 조정
업황 개선이 본격화되면서 포스코 동부제철을 비롯해 세계 최대 철강사 아르셀로미탈, 일본의 신일본주금 등 글로벌 철강주들이 동반 상승세를 타고 있다. 세계 최대 철강시장인 중국이 대규모 인프라 투자에 나서며 철강 수요는 늘어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철강업계의 구조조정으로 공급은 줄어들었다. 철강제품 가격은 당분간 강세를 보이며 철강 기업들의 실적도 크게 개선될 것이란 게 증권업계 시각이다.
◆글로벌 철강주 동반 상승
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포스코는 1만8500원(5.46%) 오른 35만7500원에 장을 마쳤다. 최근 1년 새 최고가다. 동부제철(29.67%) 동국제강(4.52%) 현대제철(2.62%) 등도 대거 상승했다. 해외 주요 철강주들도 대체로 우상향 궤적을 그리고 있다. 세계 최대 철강사인 아르셀로미탈과 일본 신일철주금은 최근 한 달간 9.8%, 3.6% 올랐다.
“글로벌 철강주들이 최근 동반 강세를 보이는 건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가 작용했기 때문”이란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중국 상하이선물거래소(SHFE)에서 열연 가격은 작년 10월 말부터 상승세를 타 지난 연말까지 5% 상승했다. 이 기간에 철근 가격은 10% 뛰었다.
SHFE에서 거래되는 열연 가격은 각종 철강 제품의 기준(벤치마크)으로 사용된다. 국내 철강 기업들의 실적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 철강의 주원료인 철광석 가격도 오름세다.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철광석 선물 가격은 최근 한 달간 9.4% 올랐다.
철강 제품 및 원료 가격이 상승세를 타는 건 업황 개선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면서 중국 등을 중심으로 철강 수요는 크게 늘어났다. 반면 중국 정부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공급은 줄어들었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겨울철 들어 중국 철강사들의 가동률이 낮아지면서 제품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가 상승도 호재
주요 철강사들의 실적도 개선되고 있다. 포스코는 작년 한 해 전년 대비 65.0% 늘어난 4조693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전망도 밝다. 중국에선 슝안 신도시 개발과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인프라 구축 계획 등이 철강 수요를 끌어올릴 요인으로 꼽힌다.
유가 상승세도 호재란 게 증권업계의 설명이다. 한유건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유가가 오르면 철강업종의 전방 산업인 조선과 정유 화학 건설 등의 분야에서 투자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며 “철강사들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증권업계는 포스코가 올해 4조966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사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주가/주당순이익)은 9.1배, 7.8배로 중국 바오산강철(11.0배), 일본 신일철주금(11.0배) 등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주가/주당순자산)은 포스코(0.8배) 현대제철(0.5배) 모두 1배가 안 된다.
해외 증권사들의 재평가도 이뤄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2일 보고서를 통해 포스코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32만원에서 41만원으로 올려잡았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이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철강 설비를 줄이고 있는 가운데 업황은 개선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포스코가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고 평가했다.
홍윤정/노유정 기자 yjhong@hankyung.com
3일 유가증권시장에서 포스코는 1만8500원(5.46%) 오른 35만7500원에 장을 마쳤다. 최근 1년 새 최고가다. 동부제철(29.67%) 동국제강(4.52%) 현대제철(2.62%) 등도 대거 상승했다. 해외 주요 철강주들도 대체로 우상향 궤적을 그리고 있다. 세계 최대 철강사인 아르셀로미탈과 일본 신일철주금은 최근 한 달간 9.8%, 3.6% 올랐다.
“글로벌 철강주들이 최근 동반 강세를 보이는 건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가 작용했기 때문”이란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중국 상하이선물거래소(SHFE)에서 열연 가격은 작년 10월 말부터 상승세를 타 지난 연말까지 5% 상승했다. 이 기간에 철근 가격은 10% 뛰었다.
SHFE에서 거래되는 열연 가격은 각종 철강 제품의 기준(벤치마크)으로 사용된다. 국내 철강 기업들의 실적에도 직접 영향을 미친다. 철강의 주원료인 철광석 가격도 오름세다.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철광석 선물 가격은 최근 한 달간 9.4% 올랐다.
철강 제품 및 원료 가격이 상승세를 타는 건 업황 개선이 본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서다.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면서 중국 등을 중심으로 철강 수요는 크게 늘어났다. 반면 중국 정부의 강도 높은 구조조정으로 공급은 줄어들었다. 박성봉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겨울철 들어 중국 철강사들의 가동률이 낮아지면서 제품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가 상승도 호재
주요 철강사들의 실적도 개선되고 있다. 포스코는 작년 한 해 전년 대비 65.0% 늘어난 4조6935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을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전망도 밝다. 중국에선 슝안 신도시 개발과 일대일로(一帶一路: 육상·해상 실크로드) 인프라 구축 계획 등이 철강 수요를 끌어올릴 요인으로 꼽힌다.
유가 상승세도 호재란 게 증권업계의 설명이다. 한유건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유가가 오르면 철강업종의 전방 산업인 조선과 정유 화학 건설 등의 분야에서 투자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며 “철강사들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증권업계는 포스코가 올해 4조9665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사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주가/주당순이익)은 9.1배, 7.8배로 중국 바오산강철(11.0배), 일본 신일철주금(11.0배) 등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 주가순자산비율(PBR·주가/주당순자산)은 포스코(0.8배) 현대제철(0.5배) 모두 1배가 안 된다.
해외 증권사들의 재평가도 이뤄지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 2일 보고서를 통해 포스코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32만원에서 41만원으로 올려잡았다.
골드만삭스는 중국이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철강 설비를 줄이고 있는 가운데 업황은 개선될 조짐을 보이고 있어 포스코가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고 평가했다.
홍윤정/노유정 기자 yj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