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업계 양대 협회장들이 무술년(戊戌年) 새해 화두로 ‘소비자 신뢰 회복’과 ‘건전성 확보’를 공통으로 제시했다.

신용길 생명보험협회 회장은 31일 배포한 ‘2018년 신년사’를 통해 “국민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노후를 위해 생명보험 산업이 사회안전망 역할을 지속 분담해야 한다”며 “생보 산업의 이미지 제고를 통해 소비자 신뢰회복 노력을 꾸준히 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보험협회장 새해 화두는 ‘소비자 신뢰 회복’과 ‘건전성 확보’
김용덕 손해보험협회 회장도 이날 신년사에서 “소비자 입장에서 보험업계와 산업 현안을 고민하는 등 소비자 신뢰 제고를 위해 매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이를 위해 “모집종사자를 대상으로 완전판매 교육을 강화하고 보험광고에 대해 회사별 자체 점검 프로세스를 확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두 협회장은 2021년 도입 예정인 새 국제보험회계기준(IFRS17)에 대비한 건전성 기준 강화도 주요 과제로 거론했다. IFRS17은 보험부채의 평가기준을 ‘원가’에서 ‘시가’로 바꾸는 것이 핵심이다. 이렇게 되면 과거 고금리 상품을 많이 판매한 보험사들은 적립금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부채가 대폭 늘어나게 된다. 신 회장은 “IFRS17은 건전성은 물론 손익과 영업 등 경영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라며 “제도의 연착륙을 이끌기 위해 노력하는 한편 선제적인 자본확충과 다양한 경영체질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도 “IFRS17과 신지급여력제도(K-ICS) 도입에 따라 급격한 자본 확충으로 인한 보험사의 경영 부담이 예상된다”며 “이를 완화하기 위해 감독 당국과 연착륙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

두 협회장은 신시장 개척도 강조했다. 신 회장은 “본격적인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정보기술(IT), 인공지능, 금융, 의료, 생명과학 등 다양하고 새로운 분야와 무한한 융합을 요구받고 있다”며 “향후 금융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핵심 상품과 서비스가 공급될 수 있도록 업계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 회장도 “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새로운 가치창출과 고부가가치 시장개척에 노력해야 한다”며 “사이버 리스크, 의료사고, 생산물배상책임 등 새로운 보험시장을 개척하고, 선진국에서 활성화된 반려동물보험의 국내시장 저변 확대에도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