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인사이트 12월26일 오전 11시8분

자동차 부품회사들의 실적 악화가 이어지는 가운데 상대적으로 재무상태가 우량한 ‘A급(신용등급 A-~A+)’ 기업도 자금조달 전략에 변화를 주기 시작했다.

[마켓인사이트] '우량 등급' 자동차부품사들도 자금조달 팍팍해진다
2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성우하이텍은 지난 22일 4년 만기 전환사채(CB) 1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채권금리는 연 1.5%이며 3개월마다 이자를 지급한다. 투자자인 한국수출입은행은 2021년 3월부터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가격은 주당 1만원으로 이날 이 회사 주가(6770원)보다 3230원 비싼 수준이다. 2021년 2월부터 수출입은행이 조기상환 청구권(풋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는 조건도 붙었다.

성우하이텍은 매년 회사채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해왔지만 올 들어선 공모 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5월 공모 회사채 300억원어치를 차환용으로 발행하려 했지만 사전 수요조사 과정에서 흥행에 실패해 공모 발행 계획을 접고 사모 방식으로 200억원어치를 찍었다.

이 회사의 올 1~3분기 매출은 2조465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9%, 영업이익은 413억원으로 55.2% 감소했다.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대규모 투자금을 금융시장에서 조달하면서 차입 규모가 증가했다. 2013년 7782억원이던 총 차입금은 올 3분기 말 1조5618억원까지 불어났다. 한국신용평가는 21일 이 회사 신용등급을 ‘A’에서 ‘A-’로 떨어뜨렸다.

현대자동차그룹 부품 계열사인 현대케피코(신용등급 A+)도 자금조달 방식을 바꾸고 있다. 19일 회사 설립 이후 처음으로 조기상환 권리(콜옵션)가 붙은 사모 회사채를 발행해 600억원을 조달했다. 채권 만기는 1년6개월로 그동안 발행한 공모 채권 만기(3~5년)보다 짧다. 이 중 300억원어치 채권에는 현대케피코가 한 달 뒤 콜옵션을 행사하지 않으면 연 2.537%인 금리가 연 3.737%로 상승한다는 조건이 붙었다. 나머지 300억원 규모 채권은 3개월 후 상환하지 않으면 금리가 연 2.43%에서 연 5.43%로 뛴다. 이 회사는 올 들어 3분기까지 511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58.7% 감소한 수치다.

또 다른 대형 부품사인 화신은 12일 만기가 도래한 500억원 규모 공모 회사채를 현금으로 상환했다. 채권시장에선 화신이 실적 부진으로 신용등급 하락 위험에 처해 이 채권을 차환하기 어려웠던 데 따른 결과로 보고 있다. 이 회사는 올 1~3분기 140억원의 영업손실을 내며 적자전환했다. 한국신용평가와 나이스신용평가 모두 이 회사 신용등급(A-)에 ‘부정적’ 전망을 달아놓고 있다.

시장에서는 자동차 부품사들의 자금조달 여건이 당분간 개선되기 힘들 것으로 보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대형사마저 재무구조 악화로 신용도가 흔들리고 있다”며 “실적이 뚜렷하게 나아지는 모습을 보여줘야 투자심리를 되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