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도쿄UFJ·미즈호은행 발행 신청
중-일 해빙 무드에 일본 대형은행들 중국서 '판다 채권' 발행
냉각됐던 중국과 일본 사이에 해빙 분위기가 조성되는 가운데 일본 메가뱅크(대형은행)들이 중국 본토에서 위안화 표시 채권 '판다 본드'를 처음 발행한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1일 보도했다.

신문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과 중국 재정성은 일본기업이 중국본토에서 위안화 표시 채권을 발행할 수 있도록 인가에 필요한 정보교환 틀 마련에 22일 합의할 예정이다.

정보교환 틀에는 양국 정부 사이에 회계감사법인의 감독이나 검사에 관한 내용이 포함된다.

이번 조치로 일본기업의 자금조달수단이 늘어 중국 사업을 확대하기 쉬워질 전망이다.

일중 관계 개선으로 금융 분야 협력도 재가동된다.

미쓰비시도쿄UFJ은행과 미즈호은행은 이미 중국 당국에 판다 채권 발행을 신청했다.

인가를 받으면 이른 시일 내에 발행할 계획이다.

중국본토에서 일본기업 현지법인이 위안화 채권을 발행한 일은 있지만, 일본에 본사를 둔 금융기관이나 사업회사는 지금껏 발행 사례가 없었다.

중국 당국은 금융시장을 외국자본에 개방할 방침을 정해놓고 있어 두 은행은 사업 확대를 위한 좋은 기회라고 인식하고 있다.

두 은행에 이어 사업회사들도 발행할 것으로 예상한다.

채권은 융자보다 장기인 경우가 많아 투자금 회수에 시간이 걸리는 설비 투자에 활용하기 쉽다.

일반적으로 현지법인보다는 본사 쪽 신용등급이 높기 때문에 일본기업은 조달금리를 내릴 수 있다.

일본과 중국 정부는 2011년 12월 위안화에 관한 포괄적 협력에 합의했지만, 그 뒤에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영토 분쟁이 재연되면서 양국 관계가 악화했다.

그 사이에도 국제기관이나 유럽 기업에 의한 판다 채권 발행이 계속 이어졌지만, 일본기업은 정치관계 악화 등의 영향으로 발행할 수 없었다고 한다.

그러다가 10월 하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이 집권 2기째에 들어가 중일 관계는 개선되는 기류다.

판다 채권 이외에도 위안화를 둘러싼 일중 협력 움직임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판다 채권 발행 증가를 통해 중국 정부는 위안화 국제화에 탄력을 붙이려고도 한다.

높은 신용등급의 외국기업이들 발행을 늘리면 국내 채권시장에 해외기관투자가를 유인할 수도 있다.

중국본토에서 위안화로 발행하는 채권인 판다 채권은 2005년 발행이 인정돼 같은 해 10월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금융공사(IFC)가 발행한 것이 처음이다.

위안화 국제화 일환이었다.

당초에는 ADB 등 국제금융기관들만 발행할 수 있었지만 2014년에는 사업회사, 2015년에는 외국 정부까지도 발행할 수 있게 됐다.

독일 자동차회사 다임러 크라이슬러도 발행한 바 있다.

중국은 해외의 투자자금을 불러들이기 위해 채권시장 대외 개방을 확대 중이다.

이렇게 해 2016년 말에는 전년 대비 13% 늘어난 8천526억 위안(약 140조 원)을 외국자본이 보유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