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가 기관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마감했다. 외국인도 코스피200 선물을 사들이며 지수 상승을 거들었다.18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01포인트(0.53%) 오른 2483.42에 거래를 마쳤다.기관이 유가증권시장에서 813억원어치의 주식을 샀다. 오전까지는 순매도 상태였지만 점심시간 이후 순매수로 전환됐다. 정부가 국무회의에서 12조20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을 심의·의결한다는 소식이 전해진 전후로 순매도량 감소가 시작됐다. 특히 연기금이 783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318억원어치와 1039억원어치의 주식을 팔았다. 다만 외국인은 코스피200선물을 3499억원어치 순매수했다.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혼조세였다.삼성전자는 강보합세로 마감했고, 장중 약세를 보였던 SK하이닉스는 보합으로 거래를 마쳤다.현대차와 기아는 각각 3.03%와 2.71% 상승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1.47% 올랐다.반면 HD현대중공업은 1.78% 하락했다. 미국의 중국산 선박 및 중국 선사에 대한 제재가 예상보다 약하다는 일각의 평가가 나온 탓이다. 장 초반 급등세를 보였던 해운주들도 현대글로비스(5.44%)를 제외하고는 상승분을 상당 부분 반납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은 각각 0.94%와 1.13% 빠졌다. LG에너지솔루션도 1.31% 하락했다.코스닥은 전일 대비 6.02포인트(0.85%) 오른 717.77에 거래를 마쳤다. 이 시장에서는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322억원어치와 121억원어치의 주식을 샀고, 외국인은 212억원어치를 팔았다.코스닥 시가총액상위 종목은 대체로 하락세였다.에코프로비엠(-1.03%), HLB(-1.96%), 에코프로(-0.83%), 레인보우로보틱스(-0.71%), 휴젤(-0.73%) 등이 하락했다. 다만 낙폭이 크지는 않았다.반면 알테오젠과 펩트론
"로킷헬스케어는 코스닥 상장을 계기로 재생치료 플랫폼 매출을 확대하고 연골·신장 시장에 진출해 만성질환 치료 시장의 비효율성을 해결할 것입니다."유석환 로킷헬스케어 대표(사진)는 18일 서울 여의도에서 진행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에서 "인공지능(AI) 개인화 장기재생 기술로 의료 혁신을 이끄는 글로벌 '퍼스트 무버'(선도자)로 도약하겠다"며 이같은 포부를 밝혔다.2012년 설립된 로킷헬스케어는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재생치료 플랫폼을 만드는 기업이다. 해당 기술이 적용된 바이오 프린터는 인체에 무해한 물질에 환자의 자가세포를 섞어 피부 조직과 비슷한 환부 패치나 장기를 출력한다. 이 기술로 환자 맞춤형 피부재생 플랫폼을 개발하고 세계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했다.로킷헬스케어는 장기재생 플랫폼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국내외 의료 임상을 진행했는데 5건의 시험에서 단 한 번의 치료 만으로 82.1%의 치료율을 확보했다. 피부이식술 등 기존 치료 방식과 비교해 비용이 4분의 1가량 줄어들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장기재생 플랫폼은 미 식품의약국(FDA)과 유럽 인증(CE)을 획득했으며 현재 46개국의 글로벌 파트너사와 상용화 계약을 마쳤다. 북미를 비롯해 중동·아시아·남미·유럽 등에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현재 주력 제품은 재생 패치를 제작하는 3D 바이오 프린터와 이를 구동하는 데 사용되는 일회용 의료 키트다. 특히 키트는 매출총이익률(GPM)이 약 80%에 달하는 고마진 제품이라고 소개했다.아울러 로킷헬스케어는 16편의 논문과 국내외 165건의 특허·출원을 통해 기술적 진입장벽을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미국 트럼프 가문과 관련성이 있다는 루머에 힘입어 한때 글로벌 주요 가상자산(암호화폐)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던 블록체인 프로젝트 '무브먼트(Movement)'가 연이은 악재에 크게 휘청이고 있다.무브먼트 토큰(MOVE)의 시장 조성을 담당했던 마켓메이커(Market Maker⋅시장조성자)가 위법 행위로 글로벌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퇴출된 데 이어 최근 루시 만체(Rushi Manche) 무브먼트 공동 창립자까지 잠적설에 휘말리면서 프로젝트의 신뢰도에 타격이 불가피해졌다는 분석이다. 사건의 발단은 지난달 25일(현지시간) 바이낸스가 무브먼트의 마켓메이커를 퇴출하며 시작됐다. 바이낸스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무브먼트 토큰 'MOVE' 상장 직후 특정 마켓메이커가 약 6600만개의 MOVE를 대량 매도해 총 3800만달러의 부당 이득을 챙긴 것으로 확인됐다"며 해당 마켓메이커를 퇴출하고 수익을 동결했다고 밝혔다. 이 마켓메이커는 과거에도 위법 행위로 제재를 받은 타사와 연관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무브먼트는 즉각 사태 진화에 나섰다. 총 3800만달러 규모의 바이백(자사 토큰 매입) 계획을 발표한 데 이어, 지난 15일 외부 감사인을 선임해 독립적인 조사에도 착수했다. 무브먼트 측은 "이상 거래에 대한 투명성과 책임성 확보를 위한 조치로 외부 감사를 진행 중"이라며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섣부른 추측은 자제해달라"고 밝혔다.하지만 조사 착수 직후 만체 공동 창립자가 공식 행사와 내부 채널에서 모습을 감추면서 시장의 의구심은 더욱 커졌다. 가상자산 전문 매체 블록웍스에 따르면 만체는 최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무브먼트 전사 회의(Onsite)에 불참했고 사내 메신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