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감시탑 지하에 의심 공간 확인"… 5·18 유해 찾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5·18기념재단, 15일 땅속탐사레이더 투입해 흔적 확인
옛 광주교도소 감시탑 지하공간에 5·18 민간인 희생자 시신을 묻고 콘크리트로 은폐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현장조사가 이뤄진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15일 옛 광주교도소 동북쪽 모퉁이 감시탑 지하공간에서 암매장 흔적을 찾는 작업에 착수한다. 재단은 감시탑 현장확인을 통해 '시신을 묻고 콘크리로 덮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지하공간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5·18재단은 민간업체가 보유한 땅속탐사레이더(GPR·Ground Penetrating Radar)를 투입해 감시탑 지하공간에 암매장으로 생겨난 지형변화가 있는지 탐지할 계획이다.
건축 분야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둘러보며 콘크리트 시공을 새로 한 흔적이 남아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연합뉴스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경비교도대로 군 복무했던 시민 제보를 토대로 감시탑 지하공간에서 암매장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최근 제기했다.
A씨는 "교도소 감시탑 지하에 교도대원인 나도 접근 못 하는 보안구역이 있었다"며 "5·18 때 교도소 주변에 묻었던 시신을 파내서 유기했던 장소로 안다"고 밝혔다.
재단은 감시탑 지하공간 현장조사와 함께 안전점검과 사전준비로 작업을 일시 중단한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발굴을 15일부터 재개한다.
가장 유력한 암매장 추정지인 1구간에서 도시가스관이 묻힌 옛 교도소 담장 쪽으로 2.5∼3.0m가량 폭을 넓혀 5·18 희생자 유해 존재 여부를 찾는다.
또 1구간과 이어진 2구간에서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암매장 흔적을 찾는다.
전체 길이 117m인 암매장 추정지를 40m씩 3개 구간으로 나눠서 지난 6일부터 발굴 조사하고 있다.
재단은 또 다른 암매장 의심지역인 교도소 남쪽 담장 주변에서도 GPR 탐지를 통해 발굴 착수 필요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5·18재단은 1980년 5월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 지휘관이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남긴 진술과 약도 등을 토대로 옛 교도소를 5·18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5·18 당시 군 자료에는 옛 교도소 일원에서 민간인 27∼28명이 숨졌는데 항쟁 후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한 시신은 11구에 불과하다.
재단은 약도 표시 지역에서 배관 줄기와 생활 쓰레기 등 과거 굴착 이력을 확인, 임시매장된 시신이 항쟁 직후 다른 장소로 옮겨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연합뉴스
옛 광주교도소 감시탑 지하공간에 5·18 민간인 희생자 시신을 묻고 콘크리트로 은폐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현장조사가 이뤄진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15일 옛 광주교도소 동북쪽 모퉁이 감시탑 지하공간에서 암매장 흔적을 찾는 작업에 착수한다. 재단은 감시탑 현장확인을 통해 '시신을 묻고 콘크리로 덮었다'는 의혹이 제기된 지하공간이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5·18재단은 민간업체가 보유한 땅속탐사레이더(GPR·Ground Penetrating Radar)를 투입해 감시탑 지하공간에 암매장으로 생겨난 지형변화가 있는지 탐지할 계획이다.
건축 분야 전문가와 함께 현장을 둘러보며 콘크리트 시공을 새로 한 흔적이 남아있는지 살펴볼 예정이다.
연합뉴스는 옛 광주교도소에서 경비교도대로 군 복무했던 시민 제보를 토대로 감시탑 지하공간에서 암매장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최근 제기했다.
A씨는 "교도소 감시탑 지하에 교도대원인 나도 접근 못 하는 보안구역이 있었다"며 "5·18 때 교도소 주변에 묻었던 시신을 파내서 유기했던 장소로 안다"고 밝혔다.
재단은 감시탑 지하공간 현장조사와 함께 안전점검과 사전준비로 작업을 일시 중단한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발굴을 15일부터 재개한다.
가장 유력한 암매장 추정지인 1구간에서 도시가스관이 묻힌 옛 교도소 담장 쪽으로 2.5∼3.0m가량 폭을 넓혀 5·18 희생자 유해 존재 여부를 찾는다.
또 1구간과 이어진 2구간에서 문화재 출토 방식으로 암매장 흔적을 찾는다.
전체 길이 117m인 암매장 추정지를 40m씩 3개 구간으로 나눠서 지난 6일부터 발굴 조사하고 있다.
재단은 또 다른 암매장 의심지역인 교도소 남쪽 담장 주변에서도 GPR 탐지를 통해 발굴 착수 필요성을 확인할 계획이다. 5·18재단은 1980년 5월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 지휘관이 '12·12 및 5·18 사건' 검찰 조사에서 남긴 진술과 약도 등을 토대로 옛 교도소를 5·18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5·18 당시 군 자료에는 옛 교도소 일원에서 민간인 27∼28명이 숨졌는데 항쟁 후 임시매장된 형태로 발굴한 시신은 11구에 불과하다.
재단은 약도 표시 지역에서 배관 줄기와 생활 쓰레기 등 과거 굴착 이력을 확인, 임시매장된 시신이 항쟁 직후 다른 장소로 옮겨졌을 것으로 추정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