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제주4·3 안다"… 발생 시기는 잘 몰라
국민 10명 중 7명은 제주4·3을 아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제주4·3평화재단이 코리아리서치센터에 의뢰해 실시한 '전국민 4·3 인식조사' 결과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인지도 조사에서 4·3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68.1%로 나타났다.

현대사 주요 사건 중 5·18 광주민주화운동의 인지율이 99%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노근리 양민학살사건(75.7%), 4·3, 여순사건(63.9%), 보도연맹사건(46.3%)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특성별로는 남성(73.8%), 50대(82.2%), 광주/전북/전남(80.5%)에서 4·3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높았다.

4·3 인지자를 대상으로 4·3 발생시기(1948년)를 물은 결과 한국전쟁(1950년 발발) 후라고 잘못 알고 있는 응답자가 49%였다.

28.3%만이 한국전쟁 전이라고 정확히 답했고, 22.7%는 모르겠다고 했다.

또한 전국민(제주 제외) 인식조사에서 4·3에 대해 관심이 있다는 응답은 16.2%로 '관심 없다'(50.2%)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제주도민 인식조사에서는 '관심있다'는 응답이 47.9%에 달해 '관심없다'(8%)보다 훨씬 높았다.

4·3의 성격에 대해서는 전국과 제주 모두 '양민 학살'(전국 38.5%, 제주 69.9%)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희생자 규모에 대해서는 전국의 경우 44.2%가 '1천∼1만명', 35%가 '1만∼3만명'이라고 응답했다.

제주에서는 '1만∼3만명'이 57.1%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1천∼1만명' 24.2%, '3만명 이상' 15.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 10명 중 7명 "제주4·3 안다"… 발생 시기는 잘 몰라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의 제정·공포에 대해 전국에서는 63.3%가 '알고 있다'고 답해 '처음 들어봤다'(36.7%)는 응답보다 26.6%p 높았다.

제주에서는 73.1%가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에서 4·3 진상조사보고서를 발간한 사실에 대해서는 전국에서는 53.6%가 '알고 있다', 46.4%가 '처음 들어봤다'고 답했다.

제주에서는 75.5%가 아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4·3 피해자와 제주도민에 공식 사과한 사실에 대해서는 전국 52.1%, 제주 76.3%가 알고 있다고 응답했다.

4·3 희생자 추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것은 전국 50.5%, 제주 71.4%가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3 진상규명 수준에 대해서는 전국에서는 '진상규명이 이뤄졌다'는 응답이 32.6%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32.7%)는 응답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제주에서는 진상규명이 이뤄졌다는 응답이 20%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응답(33.3%)에 비해 13.3%p 낮게 나타났다.

진상규명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 대해서는 전국에서는 '충분했다'가 22.3%로, '부족했다'(32.3%)는 응답보다 10%p 낮았고 제주에서는 '충분했다'는 응답(15.7%)이 '부족했다'(32.5%)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4·3 진상규명이 인권신장과 민주발전에 기여했는지에는 전국 42.3%, 제주 41.5%가 '기여했다'고 응답했고 국민화합에는 전국 40.2%, 제주 39.7%가 기여했다고 답했다.

4·3의 적절한 명칭에 대해서는 전국에서는 4·3학살 20%, 4·3항쟁 19.7%, 4·3사건 10.3% 순으로 의견이 나왔고 제주에서는 4·3사건 29.1%, 4·3항쟁 15.3%, 4·3학살 6.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4·3 해결을 통해 실현해야 할 가치에 대해서는 전국 응답자는 화해·상생(34.3%), 민주발전(24.9%), 인권신장(23%) 순으로 꼽았고 제주도민은 화해·상생(52.9%), 인권신장(23.7%), 민주발전(17.6%) 순으로 응답했다.

적절한 4·3교육 시기를 살펴본 결과 전국에서는 45.9%가 중학교 때부터, 27.1%가 고등학교 때부터, 17.4%가 초등학교 때부터라고 했고 제주에서는 초등학교(46.4%), 중학교(42.5%)때부터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4·3의 진상을 알리기 적합한 방법에 대해서는 '신문·방송 등 언론매체'라는 의견이 전국(51.4%)과 제주(58.5%) 모두 가장 많았다.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에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과거사 문제 해결'이 지정된 사실에 대해서는 전국 59.1%, 제주 61.6%가 알고 있었다.

도민만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4·3 미해결 과제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4·3 추가 진상조사'(64.2%), '희생자·유족 명예회복'(21.1%), '미국 책임 규명'(6.9%) 등의 순으로 의견이 나왔다.

4·3 특별법을 배·보상 내용이 담긴 피해 구제 중심으로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에 대해서는 찬성이 48%로 반대(2.6%)보다 훨씬 많았다.

특별법 개정 시 반드시 포함돼야 할 사항으로는 '희생자 범위 확대'(63.7%), '희생자·유족 배·보상'(21%), '4·3 당시 재판 무효와 특별재심'(8.1%) 등의 순으로 의견이 제시됐다.

전국 인지도 조사는 지난 9월 4∼6일 제주를 제외한 전국 16개 시도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로 실시됐다.

인식조사는 전국민은 16개 시도 1천208명, 제주도민은 제주 거주 506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 9일부터 10월 13일까지 가구 방문 대면면접조사로 이뤄졌다.

이 결과는 9∼11일 사흘간 제주칼호텔에서 진행되는 4·3평화포럼 중 오는 10일 제1세션 '제주4·3과 세계화해의 지평'에서 발표된다.

/연합뉴스